[비즈니스포스트]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KT 소액결제 해킹 사태와 관련해 해커가 가입자식별번호(IMSI) 외에도 성명·전화번호·생년월일 등 추가 개인정보를 확보했을 가능성을 인정했다.

배 장관은 1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노종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해커가 무단 소액결제에 성공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KT가 개인정보 유출 항목으로 밝힌 이용자 IMSI 외에도 성명·전화번호·생년월일 등이 유출됐을 가능성을 묻자 “범인이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답했다.
 
과기정통장관 배경훈 "KT 해킹 초동대응 늦어" "해커가 추가 개인정보도 갖고 있을 것"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1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지사에서 고객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관련 조치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 장관은 정부의 대응이 늦었지만 현재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배 장관은 “민관 합동조사단을 꾸려 대응하고 있지만 초동 대응이 늦은 점은 반성한다”며 “KT 대표와 면담을 통해 피해 금액 보상뿐 아니라 위약금 면제에도 적극 대응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말했다.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회의에서 배 장관에게 KT의 부적절한 대응에 과기부가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황 의원은 “과기정통부가 미온적이니 KT는 기간 통신망이 뚫린 엄청난 피해가 났는데도 위약금 면제와 관련 수사 이후 이용 약관을 들여다보겠다는 하나 마나 한 소리를 하고 침해 신고 이후 배상 약관을 스리슬쩍 바꿨다”고 지적했다.

앞서 KT는 11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에서 불법 설치된 소형 기지국(펨토셀) 2대에서 신호를 수신한 약 1만9천 명의 고객 가운데 5561명의 IMSI 유출 정황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278명이 실제 소액결제 피해를 입었으며 피해액은 약 1억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권석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