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BNK금융 해외사업·해양금융으로 성장 가속, '4파전' 다음 회장에 쏠리는 눈
BNK금융 해외사업·해양금융으로 성장 가속, '4파전' 다음 회장에 쏠리는 눈
BNK금융지주가 수익성 개선과 비용 효율화 중심의 '내실경영' 성과를 바탕으로 성장 속도를 내고 있다.지역경제 활성화 역할을 넘어 해외까지 사업 영역을 넓히며 지역금융지주 한계를 돌파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BNK금융의 확장 행보가 이어지는 가운데 차기 최고경영자 숏리스트가 발표되며 성장세를 이끌 다음 회장에 시장 안팎 관심이 모인다.28일 금융권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정부가 '부산 글로벌 해양금융 허브' 육성을 정책 기조로 이어가며 BNK금융의 성장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BNK금융이 부울경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지역금융지주라는 점에서 정책 방향성과 맞물린 성장 모멘텀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25일부터 26일까지 부산에서 열린 '2025 부산 해양금융위크'에서도 정부와 금융당국 의지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해양금융위크 개막식에서 "부산은 세계적 수준 해운, 항만, 물류 인프라와 주요 금융 인프라 기관이 공존해 글로벌 해양금융 중심지로 성장할 잠재력이 크다"며 "금융감독원은 앞으로도 부산 금융중심지를 적극 홍보하겠다"고 말했다.BNK금융은 지역금융지주로서 부울경 지역경제 활성화와 그룹 성장을 병행해 왔다는 평가를 받는다.BNK금융은 지난 2년 동안 지역 동반성장금융으로 모두 합쳐 18조4천억 원 규모를 지원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청년창업, 지역 소상공인 지원, 핀테크 및 스타트업 육성, 해양기업 지원 등에 사용됐다.특히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확정된 뒤에는 지역 강점을 살린 금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조직도 개편했다.BNK금융은 하반기 조직개편에서 지주의 '해양도시전략팀'과 부산은행의 '투자금융그룹'을 '해양·기업금융(IB)그룹'으로 합치고 산하에 '해양금융부'를 설치하는 등 해양 산업과의 연계 체계를 강화했다.시장에서는 이 조직개편을 놓고 단순 지역 특화 금융 확대뿐 아니라 부울경 해양도시 완성과 해양수산부 정착을 뒷받침하는 역할까지 포괄한다는 해석도 나왔다.BNK금융은 지역 경제성장에 바탕을 두며 그룹 순이익도 성장시켜 왔다.BNK금융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누적 순이익(지배주주)으로 7700억 원을 거뒀다. 1년 전보다 9.2% 늘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46%로 상반기 말보다 0.16%포인트, 연체율은 1.34%로 0.05%포인트 개선됐다.성장세를 바탕으로 2024년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을 이행하며 주주가치 향상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3분기 말 기준 자본적정성 지표이자 주주환원 중요 지표인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2분기보다 0.03%포인트 오른 12.59%로 집계됐다.실적 발표와 함께 3분기 현금배당(주당 120원)도 알리며 주주환원 의지를 드러냈다. BNK금융은 밸류업 기조가 강화된 올해부터 기존 반기배당을 분기배당으로 변경했다.BNK금융은 지역경제뿐 아니라 해외사업도 확장하고 있다. 지역거점 금융지주로서 상대적으로 전국구 영업망이 약한 한계를 해외 사업 네트워크로 극복하려는 시도로 해석됐다.BNK금융지주는 카자흐스탄에서 은행업 본인가를 얻는 등 글로벌 시장으로 무대를 넓히고 있다. 사진은 올해 6월 카자흐스탄 은행업 본인가 획득 뒤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 BNK금융 >BNK금융은 올해 6월 카자흐스탄에서 은행업 본인가를 얻었다. 해외 소액금융시장에 진출한 국내 금융사가 현지 금융당국으로부터 은행업 전환 인가를 받은 첫 사례이며 카자흐스탄 정부가 외국계 금융회사에 은행업 본인가를 승인한 것은 약 16년 만이다.우즈베키스탄에서는 소액금융법인(MFO)을 설립해 수익 중심 해외영업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기존 중앙아시아 진출 지역과 시너지를 높일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올해 초에는 글로벌 금융기업 ING은행과 '글로벌 지속 가능성 강화 및 선진 해양금융 협업을 위한 전략적 제휴(MOU)'를 맺었다. 이를 통해 해상풍력·선박금융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 공동 기회 발굴을 추진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기반 글로벌 금융그룹 도약을 모색한다.BNK금융이 성장 드라이브를 강화하는 가운데 차기 회장 선임 절차가 시작되며 금융권의 시선은 확장 전략을 이어갈 다음 리더십을 향하고 있다.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전날 차기 대표이사 회장 2차 후보군으로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방성빈 부산은행장, 김성주 BNK캐피탈 대표, 안감찬 전 부산은행장 등 4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후보자 4명은 모두 부산은행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해 외길을 걸은 BNK '원클럽맨'이다.빈대인 회장은 1960년 태어나 1988년 부산은행에 입행한 뒤 경영혁신부장, 인사부장, 미래채널본부 부행장, 부산은행장 등을 거쳐 2023년 3월 BNK금융지주 회장에 올랐다. 이번에 연임에 성공한다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게 된다.방성빈 행장은 1965년생으로 1989년 부산은행에 입행했다. 부산은행 준법감시부 부장, 경영기획본부장 상무, 경영전략그룹장 부행장보, BNK금융지주 글로벌부문장 전무 등을 거쳐 2023년 4월 부산은행장에 취임했다.김성주 대표는 1962년생으로 1989년 부산은행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해 부산은행 임원부속실장, IB사업본부장, 여신영업본부 상무 등을 지냈다. BNK금융지주로 옮겨 그룹리스크부문장 전무, 그룹글로벌부문장 부사장 등을 역임한 뒤 BNK신용정보 대표를 거쳐 2023년 4월부터 BNK캐피탈 대표를 맡고 있다.안감찬 전 행장은 1963년 태어나 1989년 부산은행에 들어왔다. 부산은행 북부영업본부장, 경영기획본부장, 마케팅본부장, 여신운영그룹장 등을 거쳐2021년부터 약 2년 동안 부산은행장을 지냈다.금융권 한 관계자는 "BNK금융은 단순한 금융서비스를 넘어 부울경 해양도시 완성과 해양수산부 이전 과정에서 역할이 커질 수 있다"며 "지역경제 활성화, 생산적 금융 등 주요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서 현직인 빈대인 회장의 연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BNK금융지주 회장 최종후보자는 12월8일 결정된다. 이후 이사회에서 적정성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후보로 확정되고 2026년 3월 BNK금융지주 정기 주주총회에서 승인을 받으면 차기 회장으로 선임된다. 김지영 기자

인기기사

BP 채용 공고
케이엘에이텐코코리아 채용 시 마감
SKBU LS/SWIFT Customer Support Engineer (학사신입가능)
정규직/경력 6년 이하,신입/학사 이상
쿠팡 주식회사 채용 시 마감
로켓배송 패션 셀렉션 프로그램 매니저 (서비스 기획/운영/ 프로젝트)
8년 이상/학사 이상
현대엔지니어링 D-11
플랜트사업본부 화공플랜트시운전관리 담당자
계약직/25년 이상
삼양식품 채용 시 마감
Buldak 소스 마케팅 PM
정규직/3~8년
현대엔지니어링 D-9
Building Division RCC Dam Construction Management
계약직/5년 이상/전문학사 이상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39-34 서울숲더스페이스 12층 대표전화 : 1800-6522 팩스 : 070-4015-8658

편집국 : 070-4010-8512 사업본부 : 070-4010-7078

등록번호 : 서울 아 02897 제호 : 비즈니스포스트

등록일: 2013.11.13 발행·편집인 : 강석운 발행일자: 2013년 12월 2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석운 ISSN : 2636-171X

Copyright ⓒ BUSINESSPOS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