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
- IEA "한국 '동북아 AI 허브' 목표 달성의 핵심은 저탄소 에너지", 정부 정책 추진에 탄력
- 한국이 안정적으로 전력망을 운영하려면 외부 공급에 의존하지 않는 저탄소 에너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국제기구 분석이 나왔다. 정부가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AI) 산업 강국이 되려면 전력망 안정화가 필수인 만큼 재생에너지 정책이 중대한 승부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25일(현지시각) 발간한 '2025 한국' 보고서를 통해 한국 정부가 재생에너지 도입 속도를 높이기 위한 국가 전략을 새롭게 수립해야 한다고 권고했다.국제에너지기구는 주기적으로 각 회원국들의 에너지 정책에 관한 권고 사항을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20년에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한 뒤 2018년과 비교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소폭 감축하는 데 성공했다.하지만 여전히 전력 생산의 25% 이상을 석탄에 의존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비중은 국제에너지기구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문제가 있다는 바라봤다.국제에너지기구는 이와 같은 구조가 향후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설비 증설 등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에는 불충분하다고 지적했다. 화석연료 의존성이 높은 전력망은 외부 충격에 취약해 불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실제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했을 때 급등한 국제 화석연료 가격에 한국전력은 부채 부담이 약 22조 원 증가했다는 분석도 나왔다.또 한국은 유럽이나 북미와 달리 전력을 수입해올 수 없는 고립된 전력망 구조인 만큼 자체적으로 생산성을 조절할 수 있는 저탄소 전력으로 전환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국제에너지기구는 '한국의 전력 시스템은 고립되어 있고 주변국과 연계가 부족해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과제'라고 설명했다.국제에너지기구는 이어 '석탄 발전의 단계적 폐지에 더해 원자력 발전 및 가변형 재생에너지 공급원의 확대 계획은 반도체 및 데이터센터와 같은 주요 산업에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전력 공급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전력 시스템 운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이에 한전 중심의 전력망 구조를 개편하는 한편 재생에너지 증설을 위한 입지 확보를 위해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는 계획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네이버가 보유한 데이터센터 '각 세종' 전경. <현대건설>특히 한국은 향후 동북아시아 지역의 AI 허브가 될 가능성이 높아 전력 수요가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한국 정부도 이를 고려해 AI 강국이 되기 위한 'AI 고속도로'에 병행해 저탄소 에너지 전환 정책 강화에 나서고 있다.내년도 상반기에 수립이 완료될 것으로 전망되는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전기본)에는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140GW까지 확대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같은 기간 약 109GW를 확보하기로 했던 제11차 전기본과 비교하면 목표를 대폭 끌어올린 것이다.전기본 수립 주체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로 바뀌면서 나온 변화라고 볼 수 있다.다음달부터 시작될 것으로 알려진 12차 전기본 수립 절차에는 기후솔루션, 플랜1.5, 녹색전환연구소 등 여러 기후단체 관계자들도 대거 참여할 것으로 파악돼 저탄소 전환 쪽으로 좀 더 치중된 계획이 나올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로라 코지 국제에너지기구 이사는 20일 서울 용산구에서 열린 행사에서 '국제에너지기구에서 집계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든 관측 플랫폼을 보면 한국은 동북아 지역의 해저 광케이블의 허브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는 즉 서울이 향후 지역내 AI의 중앙 허브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그는 이어 '한국에서 데이터센터가 확산됨에 따라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한 체계적 전력 인프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