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불법 기지국 무단결제와 개인정보 유출에 내부자 소행 정황 아직 없어"

▲ 김영섭 KT 대표이사 사장(가운데)이 11일 서울 KT 광화문 웨스트 사옥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무단 소액결제 사태와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KT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한 가입자 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해 통신에 상당한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KT 측은 11일 서울 KT 광화문 웨스트 사옥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내부자 소행 가능성에 대해 “KT 직원이나 내부 정황은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고, 수사를 통해 확인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통신에 관련해 상당한 지식이 있다는 정도로 추측할 수 있다”고 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해 유출된 5561명의 국제이동가입자식별번호(IMSI)와 관련해 “IMSI는 단말기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에 위치 등록하기 위해 쏜 메시지”라며 “서버에서 유출된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선 “보상 계획에 포함해 검토하되, 전향적으로 고객 입장에서 고려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보상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여러 가지 방안을 고려해 조속히 마련토록 하겠다”고 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보안 투자를 확대할 가능성에 대해 “5년간 1조 원을 투자하는 것도 크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모바일 쪽 투자 우선순위를 조정해 보안 투자가 이뤄지도록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불법 초소형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가입자 1만9천 명을 대상으로 한 유심 교체 물량과 관련해선 “100만 개 이상의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고 있다”고 했다.

ARS를 통한 소액결제 사례와 관련해서는 “ARS는 그 사람이 사이트에 들어가 이름과 주민번호를 입력해야 인증번호를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번 불법 초소형 기지국 건과는 분리돼야 한다고 본다”며 “경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