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당국이 150조 원 규모 국민성장펀드의 40% 이상을 비수도권에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금융위원회는 31일 신진창 사무처장 주재로 정부 관계부처, 정책금융기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국민성장펀드 추진 상황과 협력방안 등을 논의하는 실무간담회를 진행했다.
 
![금융위 150조 국민성장펀드 실무간담회, 40%는 지방에 공급하기로]() 
신 사무처장은 이날 회의에서 “국민성장펀드는 한국 경제와 금융의 명운이 걸린 프로젝트로 모든 역량을 동원해 반드시 성과를 내야 한다”며 “국민성장펀드 재원의 40% 이상을 지방에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만큼 지역 첨단산업 생태계 확장을 위한 프로젝트 발굴에 특히 신경써달라”고 말했다.
당국은 2026년부터 국민성장펀드를 본격 가동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국민성장펀드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백신, 로봇, 수소, 이차전지, 미래차, 방산 등 국가 미래 먹거리산업을 육성·지원하기 위한 기금이다.
산업은행 산하에 설치하는 첨단전략산업기금에 금융회사와 연기금 등 민간자금으로 조성하는 미래성장펀드를 더해 운영한다.
금융위는 이날 정책금융 공급실적도 점검했다.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고나 4곳은 2025년 정책자금을 247조3천억 원 규모로 공급하기로 했다.
이들 기관은 올해 9월까지 △첨단전략산업 △미래유망산업 △사업재편 및 산업구조 고도화 △유니콘 벤처·중소·중견기업 육성 △기업경영애로 해소 등 5대 중점자금 공급분야에 138조2천억 원을 공급했다. 연간 목표(138조 원+@)를 조기 달성했다.
특히 인공지능분야에는 연초 설정했던 5조 원보다 훨씬 많은 10조6천억 원 이상의 자금이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 관계자는 “2026년에는 국민성장펀드가 본격 가동되고 정책금융 지방공급 확대 목표제도 시행된다”며 “금융위는 12월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통해 연간 지방공급 목표를 발표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점검해가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금융위원회는 31일 신진창 사무처장 주재로 정부 관계부처, 정책금융기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국민성장펀드 추진 상황과 협력방안 등을 논의하는 실무간담회를 진행했다.
 
▲ 금융당국이 150조 원 규모로 조성되는 국민성장펀드의 40% 이상을 지방에 공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신 사무처장은 이날 회의에서 “국민성장펀드는 한국 경제와 금융의 명운이 걸린 프로젝트로 모든 역량을 동원해 반드시 성과를 내야 한다”며 “국민성장펀드 재원의 40% 이상을 지방에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만큼 지역 첨단산업 생태계 확장을 위한 프로젝트 발굴에 특히 신경써달라”고 말했다.
당국은 2026년부터 국민성장펀드를 본격 가동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국민성장펀드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백신, 로봇, 수소, 이차전지, 미래차, 방산 등 국가 미래 먹거리산업을 육성·지원하기 위한 기금이다.
산업은행 산하에 설치하는 첨단전략산업기금에 금융회사와 연기금 등 민간자금으로 조성하는 미래성장펀드를 더해 운영한다.
금융위는 이날 정책금융 공급실적도 점검했다.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고나 4곳은 2025년 정책자금을 247조3천억 원 규모로 공급하기로 했다.
이들 기관은 올해 9월까지 △첨단전략산업 △미래유망산업 △사업재편 및 산업구조 고도화 △유니콘 벤처·중소·중견기업 육성 △기업경영애로 해소 등 5대 중점자금 공급분야에 138조2천억 원을 공급했다. 연간 목표(138조 원+@)를 조기 달성했다.
특히 인공지능분야에는 연초 설정했던 5조 원보다 훨씬 많은 10조6천억 원 이상의 자금이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 관계자는 “2026년에는 국민성장펀드가 본격 가동되고 정책금융 지방공급 확대 목표제도 시행된다”며 “금융위는 12월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통해 연간 지방공급 목표를 발표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점검해가겠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미디어토마토] 서울시장 가상 1대1 대결, 오세훈 46.8% VS 박주민 42.0%](https://businesspost.co.kr/news/photo/202510/20251031111357_4281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