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롯데백화점이 동반성장지수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롯데백화점은 31일 동반성장위원회(동반위)가 발표한 2024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롯데백화점, 백화점 업종 최초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등급 획득]() 
동반성장지수는 동반위가 대기업의 동반성장 지수를 계량해 매년 1회 공표하는 지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
공정거래 분야에서는 전 임직원 대상으로 연 2회 진행하는 ‘공정거래 필수교육’, 불공정 거래의 리스크를 경감하기 위해 법률 및 절차 준수 여부를 검토하는 ‘사전합의제도’, 파트너사와의 계약 과정의 오류를 줄이고 투명성을 확보한 ‘ECS(전자계약)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동반성장 부문에서는 국내 대표 금융사와 연계해 우대 금리 대출을 지원하는 1천억 원 규모의 ‘동반성장펀드’, 우수 중소파트너사에 마진 인하 혜택을 제공하는 ‘상생 마진 제도’ 등이 있다. 파트너사와 지자체와의 소통 강화를 위한 ‘동행 워크샵’도 운영하고 있다.
중소 파트너사의 판로 개척을 위한 전용 편집 매장인 ‘드림플라자’를 비롯해 ‘식품 안전 컨설팅’,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지원 컨설팅’ 등 파트너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도 이어오고 있다.
박성철 롯데백화점 대외협력부문장은 “롯데백화점이 40여 년 동안 최고 백화점 자리를 지켜올 수 있었던 것은 파트너사와 함께 성장하고자 한 노력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파트너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상생 지원책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김예원 기자
												         
													        
															
															
														
																
															
															
																													
															
															
															
														
															
															
															
														
											             
                        
                    롯데백화점은 31일 동반성장위원회(동반위)가 발표한 2024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 롯데백화점이 백화점 업종 최초로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롯데쇼핑>
동반성장지수는 동반위가 대기업의 동반성장 지수를 계량해 매년 1회 공표하는 지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
공정거래 분야에서는 전 임직원 대상으로 연 2회 진행하는 ‘공정거래 필수교육’, 불공정 거래의 리스크를 경감하기 위해 법률 및 절차 준수 여부를 검토하는 ‘사전합의제도’, 파트너사와의 계약 과정의 오류를 줄이고 투명성을 확보한 ‘ECS(전자계약)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동반성장 부문에서는 국내 대표 금융사와 연계해 우대 금리 대출을 지원하는 1천억 원 규모의 ‘동반성장펀드’, 우수 중소파트너사에 마진 인하 혜택을 제공하는 ‘상생 마진 제도’ 등이 있다. 파트너사와 지자체와의 소통 강화를 위한 ‘동행 워크샵’도 운영하고 있다.
중소 파트너사의 판로 개척을 위한 전용 편집 매장인 ‘드림플라자’를 비롯해 ‘식품 안전 컨설팅’,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지원 컨설팅’ 등 파트너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도 이어오고 있다.
박성철 롯데백화점 대외협력부문장은 “롯데백화점이 40여 년 동안 최고 백화점 자리를 지켜올 수 있었던 것은 파트너사와 함께 성장하고자 한 노력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파트너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상생 지원책 마련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김예원 기자

 
                                ![[미디어토마토] 서울시장 가상 1대1 대결, 오세훈 46.8% VS 박주민 42.0%](https://businesspost.co.kr/news/photo/202510/20251031111357_4281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