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텔레콤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실적 부진으로 인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배당 지급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NH투자 "SK텔레콤 목표주가 하향, 실적 부진에 4분기 배당도 쉽지 않아"]()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1일 NH투자증권 목표주가를 기존 6만5천 원에서 6만1천 원으로 낮췄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30일 SK텔레콤 주가는 5만2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안 연구원은 “3분기 배당을 지급하지 않았고, 연간 실적을 감안하면 4분기 배당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사이버침해 사건에 따른 가입자 보상으로 3분기 큰 폭의 영업이익 감소와 순손실 전환이 나타났다.
SK텔레콤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3조9800억 원, 영업이익 484억 원, 순손실 1582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12.2%, 영업이익은 90.9% 각각 감소하고 순손실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이에 SK텔레콤은 2025년 9월 말 주당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4분기도 최근 시작된 희망퇴직에 따른 1천억 원 규모 일회성 인건비로,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연간 주당배당금은 163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 경우 2025년 배당수익률은 3.1%에 불과해 경쟁사 대비 2분의 1 수준에 그치게 된다.
안 연구원은 “2026년 영업이익은 1조8100억 원으로 회복하겠지만, 2026년 주당배당금이 다시 2024년 수준인 주당 3520원으로 상승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실적 부진으로 인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배당 지급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 31일 NH투자증권은 SK텔레콤이 4분기에도 실적 부진으로 인해 주당배당금을 지급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1일 NH투자증권 목표주가를 기존 6만5천 원에서 6만1천 원으로 낮췄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30일 SK텔레콤 주가는 5만2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안 연구원은 “3분기 배당을 지급하지 않았고, 연간 실적을 감안하면 4분기 배당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사이버침해 사건에 따른 가입자 보상으로 3분기 큰 폭의 영업이익 감소와 순손실 전환이 나타났다.
SK텔레콤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3조9800억 원, 영업이익 484억 원, 순손실 1582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12.2%, 영업이익은 90.9% 각각 감소하고 순손실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이에 SK텔레콤은 2025년 9월 말 주당배당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4분기도 최근 시작된 희망퇴직에 따른 1천억 원 규모 일회성 인건비로,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연간 주당배당금은 163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 경우 2025년 배당수익률은 3.1%에 불과해 경쟁사 대비 2분의 1 수준에 그치게 된다.
안 연구원은 “2026년 영업이익은 1조8100억 원으로 회복하겠지만, 2026년 주당배당금이 다시 2024년 수준인 주당 3520원으로 상승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미디어토마토] 서울시장 가상 1대1 대결, 오세훈 46.8% VS 박주민 42.0%](https://businesspost.co.kr/news/photo/202510/20251031111357_4281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