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포스코홀딩스는 장인화 회장이 17일 여의도 FKI타워(옛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제46차 합동회의에 한국 측 위원장 자격으로 참석한다고 밝혔다.
양국 정·재계 인사 200여 명은 '한-호주의 산업·혁신·지속가능성 강화 방안'을 주제로 핵심광물, 청정에너지, 산업안전, 재난대응 등 5개 분야의 과제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올해는 처음으로 'AI 기반의 산업안전 및 재난대응'이 특별의제로 상정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장 회장은 "양국이 경제산업 투자 확대를 넘어 지역상생과 산업안전, 재난 대응까지 핵심 협력 분야의 외연을 넓히고 연대를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가는 해법을 함께 모색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재난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공헌사업 계획을 소개했다.
호주 뉴사우스 웨일스주의 선진 재난 대응체계와 노하우를 벤치마킹해 자연재해 발생 시 지역 주민들이 신속·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 상황 모의훈련, 대피시설 개선, 소방장비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핵심광물 공급망 세션에서는 호주 리튬 광석 원료를 수입해 2차전지 소재용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포스코그룹의 첫 해외 자원전문 연구소인 '호주핵심자원연구소' 등 협업 사례를 소개했다.
포스코그룹은 1970년부터 호주의 철광석을 구매하고 있으며 리튬을 포함한 핵심광물 개발에서 호주와 협력하고 있다.
회사의 호주 철광석 구매 규모는 연간 70억 달러에 이르며, 이는 전체 원료 구매의 70% 수준이다.
또한 호주 로이힐 철광석 광산개발에 참여했으며, 탄소저감 철강 원료인 HBI를 생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인프라 계열사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2년 호주 세넥스에너지를 인수해 천연가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신재희 기자
양국 정·재계 인사 200여 명은 '한-호주의 산업·혁신·지속가능성 강화 방안'을 주제로 핵심광물, 청정에너지, 산업안전, 재난대응 등 5개 분야의 과제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사진)이 17일 오전 여의도 FKI타워(옛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제46차 합동회의에 한국 측 위원장 자격으로 참석한다. 사진은 지난 3월27일 장 회장이 포스코그룹 기술전략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포스코홀딩스>
특히 올해는 처음으로 'AI 기반의 산업안전 및 재난대응'이 특별의제로 상정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장 회장은 "양국이 경제산업 투자 확대를 넘어 지역상생과 산업안전, 재난 대응까지 핵심 협력 분야의 외연을 넓히고 연대를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로 나가는 해법을 함께 모색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재난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공헌사업 계획을 소개했다.
호주 뉴사우스 웨일스주의 선진 재난 대응체계와 노하우를 벤치마킹해 자연재해 발생 시 지역 주민들이 신속·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 상황 모의훈련, 대피시설 개선, 소방장비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핵심광물 공급망 세션에서는 호주 리튬 광석 원료를 수입해 2차전지 소재용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 포스코그룹의 첫 해외 자원전문 연구소인 '호주핵심자원연구소' 등 협업 사례를 소개했다.
포스코그룹은 1970년부터 호주의 철광석을 구매하고 있으며 리튬을 포함한 핵심광물 개발에서 호주와 협력하고 있다.
회사의 호주 철광석 구매 규모는 연간 70억 달러에 이르며, 이는 전체 원료 구매의 70% 수준이다.
또한 호주 로이힐 철광석 광산개발에 참여했으며, 탄소저감 철강 원료인 HBI를 생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인프라 계열사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2년 호주 세넥스에너지를 인수해 천연가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