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위원장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우리 경제의 미래를 위해서는 금융의 과감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 대전환 방향성 가운데 첫째로는 ‘생산적 금융’을 이야기했다.
이 위원장은 “우리 금융은 담보대출 위주의 손쉬운 방식에 치중하면서 부동산 쏠림과 가계부채의 누적을 초래했다”며 “보다 적극적으로 위험을 감내하면서 대한민국 미래를 견인할 생산적 영역으로 자금을 중개할 수 있도록 바꿔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건전성 규제, 검사·감독 제도 등이 과도한 안정 지향과 부동산 쏠림을 유발하지 않는지 살펴보고 필요한 모든 부분을 바꿔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로는 취약계층의 재기를 돕고 금융소비자를 보호하는 ‘소비자 중심 금융’을 제시했다.
이 위원장은 “서민금융안정기금 신설 등으로 다양한 자금 공급이 이뤄지고 금융 부담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연체자분들은 과감하고 신속한 채무조정으로 경제적 복귀를 돕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는 ‘신뢰 금융’이 과제라고 짚었다.
이 위원장은 “가계부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취약한 주력산업의 사업재편 등 리스크 요인을 면밀히 점검·관리하겠다”며 “필요시 선제적이고 과감한 시장안정조치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공식 취임사에서는 조직 개편과 관련한 언급이 없었다.
다만 이 위원장은 직원들에게 따로 생각을 전했다고 알려졌다.
그는 조직개편에 대해 “안타까운 상황”이라면서도 “공직자로서 국가적 최종 결정이 이뤄지면 그것을 따라야 하는 것도 우리의 책무이자 의무인 것도 엄중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에 넘겨 ‘재정경제부’를 신설하고 금융위원회를 ‘금융감독위원회’로 재편하는 조직개편안을 내놨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