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배터리·전기차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올해 1~9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전기차 등록 대수가 전년 동기보다 28.0% 증가한 554만5천 대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제조사 별로 보면 폭스바겐, 아우디, 스코다 등이 속한 폭스바겐그룹이 91만 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7.4% 늘며 1위를 차지했다.
테슬라는 전년 동기 대비 5.8% 감소한 78만5천 대로 2위로 밀렸다.
현대자동차그룹은 48만1천 대를 판매해 3위를 기록했다. 판매량이 1년 전보다 17.2% 늘었고 지난해와 같은 순위를 유지했다.
아이오닉5와 EV3가 실적을 이끌었고, 캐스퍼 일렉트릭과 EV5, 크레타 일렉트릭도 좋은 판매 흐름을 보였다.
BYD(비야디)는 41만4천 대로 4위에 올랐다. 지난해 1~9월보다 판매량이 142.9% 늘었다. 1년 전 9위였던 BYD는 4위로 다섯 계단 상승했다.
지역별로 보면 유럽 전기차 판매량은 32.2% 증가했다.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유럽이 차지하는 비중(중국 제외)은 53.8%로 가장 크다.
북미 판매량은 9.0% 증가했다. 세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6.0%였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및 환경 규제 완화 기조가 강화되면서 지난 9월30일 전기차 세액공제가 폐지됐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의 시장 점유율은 15.0%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전기차 판매량이 50.4% 증가했다.
SNE리서치 측은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신흥국은 보급형 전기차와 경형 상용 전기차를 중심으로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며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은 불확실한 정책 환경과 수익성 저하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화·플랫폼 통합 전략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생산 효율성과 기술 경쟁력의 균형을 맞추는 데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
제조사 별로 보면 폭스바겐, 아우디, 스코다 등이 속한 폭스바겐그룹이 91만 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67.4% 늘며 1위를 차지했다.
▲ 현대자동차 중형 전기 세단 아이오닉6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 <현대차>
테슬라는 전년 동기 대비 5.8% 감소한 78만5천 대로 2위로 밀렸다.
현대자동차그룹은 48만1천 대를 판매해 3위를 기록했다. 판매량이 1년 전보다 17.2% 늘었고 지난해와 같은 순위를 유지했다.
아이오닉5와 EV3가 실적을 이끌었고, 캐스퍼 일렉트릭과 EV5, 크레타 일렉트릭도 좋은 판매 흐름을 보였다.
BYD(비야디)는 41만4천 대로 4위에 올랐다. 지난해 1~9월보다 판매량이 142.9% 늘었다. 1년 전 9위였던 BYD는 4위로 다섯 계단 상승했다.
지역별로 보면 유럽 전기차 판매량은 32.2% 증가했다.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유럽이 차지하는 비중(중국 제외)은 53.8%로 가장 크다.
북미 판매량은 9.0% 증가했다. 세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6.0%였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및 환경 규제 완화 기조가 강화되면서 지난 9월30일 전기차 세액공제가 폐지됐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의 시장 점유율은 15.0%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전기차 판매량이 50.4% 증가했다.
SNE리서치 측은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신흥국은 보급형 전기차와 경형 상용 전기차를 중심으로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며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은 불확실한 정책 환경과 수익성 저하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화·플랫폼 통합 전략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생산 효율성과 기술 경쟁력의 균형을 맞추는 데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