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60개국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 그린피스 "공해 보호의 길 열려"

▲ 세계 60개국이 글로벌 해양 조약(BBNJ)를 비준해 내년부터 효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사진은 2022년 그린피스가 글로벌 해양 조약 체결을 촉구하며 미국 뉴욕시 브루클린 다리에서 진행한 퍼포먼스. <그린피스>

[비즈니스포스트] 세계 해양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조약이 비준 발효 최소 요건을 달성했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는 22일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협약에 따른 국가관할권 이원지역의 해양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에 대한 협정(BBNJ)'이 60개국 비준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보호되지 못하고 있던 공해가 보호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고 설명했다.

공해는 전 세계 바다의 61%를 차지하고 있으나 보호되고 있는 지역은 전체 면적의 0.9%에 불과하다. 특정 국가의 관할이 아니기 때문에 보호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공해 보호는 기후위기 완화와 세계 식량 안보에 매우 중요하다. 해양과 해양 생태계는 세계에서 가장 큰 탄소 흡수원이며 수십억 명의 주요 식량 수급원이기 때문이다.

이에 유엔 회원국들은 2022년에 공해를 보호하기 위한 BBNJ 체결에 합의하고 비준 절차를 추진해왔다.

BBNJ는 60개국 비준이라는 요건을 충족한 뒤 120일이 지나면 발효된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2026년 1월17일부터 효력을 가진다.

매즈 크리스츤슨 그린피스 인터내셔널 사무총장은 "바다를 보호하는 역사적 순간을 만들어냈다"며 "착취와 파괴의 시대를 끝나야 하며 BBNJ는 이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여기서 안심할 수는 없다"며 "과학자들에 따르면 우리는 2030년까지 바다의 최소 30%를 보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린피스 분석에 따르면 2030년까지 공해의 30%를 보호하려면 향후 5년간 매년 1200만 km²가 넘는 면적을 보호구역으로 편성해야 한다. 면적만 따지면 한국 국토의 약 120배에 달한다.

이에 그린피스는 내년에 열리는 세계 최초의 해양 당사국총회가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참여국들이 공해 보호구역 지정 실행 계획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김연하 그린피스 해양 캠페이너는 "한국은 동아시아 최초 BBNJ 협정 비준국이자 차기 유엔 해양총회 유치 선언국으로서 시급히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다자 논의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며 "보호구역 지정 제안서를 제출하거나 보호구역 지정을 적극 지지하는 등의 실질적 행동으로 책임있는 해양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