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넷마블을 두고 내년에도 신작 성과가 기대된다는 증권가의 진단이 나왔다.
7일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넷마블의 목표주가 8만 원과 투자의견 매수(BUY)를 각각 유지했다. 2026년 업종 내 최선호주로도 제시됐다.
직전 거래일인 6일 넷마블 주가는 5만54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안재민 연구원은 “어려운 게임 업황에도 2025년 3개의 신작을 성공하며 실적 정상화 구간에 진입했다”며 “2026년에도 다양한 라인업으로 또 한번의 실적 레벨업을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기존 지식재산(IP)의 프랜차이즈화 전략과 함께 뱀피르와 같은 신규 IP의 성공도 이어졌다”며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해외 매출 비중이 높은 것도 넷마블의 장점”이라고 분석했다.
넷마블은 2026년에도 다양한 신작 라인업을 준비하고 있다.
1분기 중 ‘일곱개의 대죄: 오리진’, ‘솔: 인챈트’, ‘몬길: 스타 다이브’를 시작으로 ‘이블베인’,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스톤에이지키우기’, ‘샹그릴라프론티어: 일곱최강종’ 등 다수의 게임이 2026년 출시된다.
넷마블은 전날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수준의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연결기준으로 매출 6960억 원, 영업이익 909억 원을 각각 거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7.5%, 영업이익은 38.8% 늘어난 것이다.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였던 833억 원을 웃돌았다.
8월 말 출시한 신작 ‘뱀피르’가 일평균 17억 원을 내며 매출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세븐나이츠리버스’도 일평균 매출 9억 원 이상을 냈다.
안 연구원은 “‘세븐나이츠리버스’와 ‘RF온라인넥스트’의 글로벌 출시로 매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라며 “영업이익 성장세도 좋지만 보유하고 있는 코웨이, 하이브, 엔씨소프트의 지분가치 2조2천억 원을 제외하면 2026년 주가수익비율(PER)은 7.9배 수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
7일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넷마블의 목표주가 8만 원과 투자의견 매수(BUY)를 각각 유지했다. 2026년 업종 내 최선호주로도 제시됐다.
▲ NH투자증권은 넷마블 목표주가로 8만 원을 제시했다.
직전 거래일인 6일 넷마블 주가는 5만54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안재민 연구원은 “어려운 게임 업황에도 2025년 3개의 신작을 성공하며 실적 정상화 구간에 진입했다”며 “2026년에도 다양한 라인업으로 또 한번의 실적 레벨업을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기존 지식재산(IP)의 프랜차이즈화 전략과 함께 뱀피르와 같은 신규 IP의 성공도 이어졌다”며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해외 매출 비중이 높은 것도 넷마블의 장점”이라고 분석했다.
넷마블은 2026년에도 다양한 신작 라인업을 준비하고 있다.
1분기 중 ‘일곱개의 대죄: 오리진’, ‘솔: 인챈트’, ‘몬길: 스타 다이브’를 시작으로 ‘이블베인’,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스톤에이지키우기’, ‘샹그릴라프론티어: 일곱최강종’ 등 다수의 게임이 2026년 출시된다.
넷마블은 전날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수준의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연결기준으로 매출 6960억 원, 영업이익 909억 원을 각각 거뒀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7.5%, 영업이익은 38.8% 늘어난 것이다.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였던 833억 원을 웃돌았다.
8월 말 출시한 신작 ‘뱀피르’가 일평균 17억 원을 내며 매출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세븐나이츠리버스’도 일평균 매출 9억 원 이상을 냈다.
안 연구원은 “‘세븐나이츠리버스’와 ‘RF온라인넥스트’의 글로벌 출시로 매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라며 “영업이익 성장세도 좋지만 보유하고 있는 코웨이, 하이브, 엔씨소프트의 지분가치 2조2천억 원을 제외하면 2026년 주가수익비율(PER)은 7.9배 수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