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동원산업은 지배구조 단순화, 글로벌 성장 전략을 펼치고 있다.
흥국증권은 27일 동원산업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6만7천 원으로 상향했다. 직전거래일 24일 기준 주가는 4만7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종렬 흥국증권 연구원은 “동원F&B를 포과절 주식 교환 방식으로 100% 자회사함으로써 성장성 확보(국내외 식품사업 통합과 글로벌 사업 확장)와 기업 및 주주가치 제고(더블카운팅 이슈 제거, 주주환원 확대)를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동원산업의 2026년 연간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대비 3.8% 늘어난 9조9천억 원, 영업이익은 7.9% 증가한 6217억 원으로 전망한다.
수산·식품·포장·물류 등 전 부문에서 안정적인 성장세가 지속되며, 영업이익률은 6.3%, EBITDA 마진은 9.5%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다.
주력은 수산부문은 어획량 회복과 원가 안정으로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동원F&B는 스타키스트 중심의 해외 판매 확대로 매출 성장이 이어질 것이다.
동원시스템즈는 2차전지 소재(양극박, 배터리 캔) 매출 증가로 수익성이 제고될 전망이다.
박종렬 연구원은 “동원산업의 투자포인트는 지배구조 단순화, 글로벌 식품사업 확장(동원F&B는 스타키스트를 중심으로 북미시장 점유율 확대와 글로벌 브랜드 M&A 추진), 신성장 동력 확보(원통형 배터리 캔과 양극박, 케이스마트 육상연어 양식, 부산 신항 자동화터미널), 주주환원 강화”라고 설명했다.
2025년 동원F&B 완전자회사 편입으로 이중지배 구조가 해소되며, 향후 동원시스템즈 완전자회사 전환 가능성도 상존한다.
글로벌 식품부문 매출은 2030년까지 10조 원으로 확대하고, 스마트 양식 및 자동화 터미널 등 신규사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내외 식품사업 통합과 계열사간 시너지 증대 등을 통한 글로벌 식품사업 확대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전략적인 M&A를 통해 글로벌 사업 기반 확대도 추진 중이다.
2023∼2024년 자사주(비율 28%) 전량 소각에 이어 2025년 1월 무상증자 10% 시행과 동원F&B와의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신주 10% 발생 등으로 유통 주식수 부족을 일부 해소했다.
지난 8월에는 중간배당(DPS 550원)을 실시하는 등 주주가치 증대에도 노력했다.
최근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12개월 Forward 기준 주가수익비율(P/E), 주가순자산비율(P/B)SMS 각각 5.8배, 0.6배로 밸류에이션 매력은 높다.
진정한 주주환원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추가적인 주가 재평가 가능성은 충분하다. 장원수 기자
흥국증권은 27일 동원산업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6만7천 원으로 상향했다. 직전거래일 24일 기준 주가는 4만7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 동원산업의 2025년 매출액은 9조4970억 원, 영업이익은 5760억 원으로 추정된다. <동원산업>
박종렬 흥국증권 연구원은 “동원F&B를 포과절 주식 교환 방식으로 100% 자회사함으로써 성장성 확보(국내외 식품사업 통합과 글로벌 사업 확장)와 기업 및 주주가치 제고(더블카운팅 이슈 제거, 주주환원 확대)를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동원산업의 2026년 연간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대비 3.8% 늘어난 9조9천억 원, 영업이익은 7.9% 증가한 6217억 원으로 전망한다.
수산·식품·포장·물류 등 전 부문에서 안정적인 성장세가 지속되며, 영업이익률은 6.3%, EBITDA 마진은 9.5%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다.
주력은 수산부문은 어획량 회복과 원가 안정으로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동원F&B는 스타키스트 중심의 해외 판매 확대로 매출 성장이 이어질 것이다.
동원시스템즈는 2차전지 소재(양극박, 배터리 캔) 매출 증가로 수익성이 제고될 전망이다.
박종렬 연구원은 “동원산업의 투자포인트는 지배구조 단순화, 글로벌 식품사업 확장(동원F&B는 스타키스트를 중심으로 북미시장 점유율 확대와 글로벌 브랜드 M&A 추진), 신성장 동력 확보(원통형 배터리 캔과 양극박, 케이스마트 육상연어 양식, 부산 신항 자동화터미널), 주주환원 강화”라고 설명했다.
2025년 동원F&B 완전자회사 편입으로 이중지배 구조가 해소되며, 향후 동원시스템즈 완전자회사 전환 가능성도 상존한다.
글로벌 식품부문 매출은 2030년까지 10조 원으로 확대하고, 스마트 양식 및 자동화 터미널 등 신규사업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내외 식품사업 통합과 계열사간 시너지 증대 등을 통한 글로벌 식품사업 확대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전략적인 M&A를 통해 글로벌 사업 기반 확대도 추진 중이다.
2023∼2024년 자사주(비율 28%) 전량 소각에 이어 2025년 1월 무상증자 10% 시행과 동원F&B와의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신주 10% 발생 등으로 유통 주식수 부족을 일부 해소했다.
지난 8월에는 중간배당(DPS 550원)을 실시하는 등 주주가치 증대에도 노력했다.
최근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12개월 Forward 기준 주가수익비율(P/E), 주가순자산비율(P/B)SMS 각각 5.8배, 0.6배로 밸류에이션 매력은 높다.
진정한 주주환원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추가적인 주가 재평가 가능성은 충분하다. 장원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