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업무협약(MOU) 체결식에서 행정안전부, 네이버, 카카오는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활용한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연내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민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민간 플랫폼에서 공공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부의 디지털 행정 혁신 정책의 일환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내에서 별도의 앱 설치나 로그인 없이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AI 국민비서’ 시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시범 단계에서는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공유누리) 등의 기능이 우선 적용된다. 카카오는 자체 개발 AI 모델 ‘카나나’를 적용해 사용자의 문맥과 의도를 이해하고 단순 검색을 넘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는 대화형 서비스를 구현한다.
또한 ‘MCP’와 ‘AI 에이전트 빌더’를 활용해 다양한 분야의 AI 에이전트를 자동 생성하고 이용자의 요청에 맞게 맞춤형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유해 콘텐츠 생성을 방지하는 ‘카나나 세이프가드’도 탑재한다.
네이버는 자사 초거대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이를 네이버 웹과 앱에 적용한 형태로 공공서비스와 연계한다.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공공자원 예약 등 국민 수요가 높은 서비스부터 적용해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향후 개인화 추천 기능을 포함한 고도화된 행정서비스로 확장한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민이 말 한마디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민간의 혁신 기술과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정부와 민간이 함께 AI 민주 정부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이미 다수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해온 경험이 있다”며 “이번 협약이 미래 행정서비스 혁신의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의 유용하 AI에이전트 플랫폼 리더는 “행안부와의 협력은 국민의 공공서비스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AI 에이전트를 통한 공공서비스 생태계를 함께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