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시행 약 6개월을 앞둔 노란봉투법이 벌써부터 산업현장에 대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자동차와 조선, 철강, 반도체 등 주요 제조업 하청업체들은 원청 대기업을 향한 처우 개선 요구를 강화하고 있다. 기업의 손해배상 등 책임이 커지면 고용이나 외국계 기업의 투자 등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러나 노동자 권익 강화는 시대 흐름을 반영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접근에 이어 파업 등 노사갈등 리스크가 오히려 줄어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비즈니스포스트는 노란봉투법이 국내 주요 기업과 경영단체, 정치권에 미칠 영향을 짚어본다.

-글 싣는 순서
① 법 시행 전부터 노사갈등 첨예화, 노동장관 김영훈 '진짜 시험대' 오르다
② 삼성전자 반도체 일촉즉발, ‘건설부터 부품까지’ 하청업체 파업 전운
③ SK그룹 최태원 벼르는 노조에 ‘초긴장’, 수만개 하청 파업 땐 주력사업 타격 불가피
④ 이마트 매장 출점·퀵커머스 확대 중 '큰 산' 직면, 한채양 본업 강화 난기류 
⑤ 현대차그룹 노조 반발에 해외투자 차질 빚나, 정의선 로봇·자율주행차 등 신사업 '빨간불'
⑥ 건설사는 노란봉투법에 직접 영향권, 원청 범위 등 세부내용 결정에 촉각
⑦ 롯데백화점 판매직과 직접 대화 불가피해지나, 정준호 노조 달래며 갈길 바빠진다
⑧ 정책에 요동치는 주식시장, 노란봉투법도 코스피 5000 시대 주요 변수
⑨ 경총 손경식 역할론 대두, ‘사용자’와 ‘사업경영상 결정’ 해석에 재계 요청 담아내나
⑩ 한화생명 이경근, 전 직장 한화생명금융서비스 관계 다지기 업무 막중
⑪ 노란봉투법에 택배업계 ‘다단계 위수탁’ 변화 불가피, 무한 속도경쟁 제동 걸리나

[노란봉투법 대혼란⑤] 현대차그룹 노조 반발에 해외투자 차질 빚나, 정의선 로봇·자율주행차 신사업 '빨간불'

▲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에서부터 로봇과 자율주행,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등 신사업과 관련해 현대자동차 노조는 사전 통지를, 기아 노조는 국내 신사업 공장 우선 건설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내년 3월 ‘노란봉투법’이 시행되면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해외 투자와 신사업을 추진하는 데 노조 반발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내년 3월 ‘노란봉투법’이 시행되면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해외 투자와 신사업을 추진하는 데 부담이 상당히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에서도 로봇과 자율주행, 미래항공 모빌리티(AAM) 등 신사업 추진과 관련해 현대자동차 노조가 사전 통지를, 기아 노조는 국내에서 우선 신사업 공장을 건설할 것을 요구했다.

내년 임단협이 노란봉투법 시행 이후라는 점을 고려하면, 내년 현대차그룹의 해외 신사업과 관련한 노조의 반발이 더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관련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관세 여파에 따라 미국 현지 투자 투자와 생산을 늘리고, 미국에서 로봇 공장 건설 등 신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는 현대차그룹 입장에서 노란봉투법 시행으로 인한 노사 갈등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노란봉투법은 노조의 쟁의 대상을 ‘근로조건 결정’에서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 경영상 결정’으로 확대했다. 현대차·기아 노조가 정당한 파업을 무기로 사측에 신사업을 국내에서 우선 추진할 것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노란봉투법으로 인한 갈등 조짐은 이미 올해 현대차와 기아의 임단협에서 불거졌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16일 전체 조합원 가운데 52.9%의 찬성을 받아 올해 임단협을 타결했다. 하지만 신사업 추진과 관련해서는 향후 추가 논의를 통해 합의점을 찾기로 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사측에 신사업 추진 시 미리 노조에 알릴 것을 요구했다. 또 노사는 신사업 유치 기반을 조성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올해는 고비를 넘겼다고 해도 노조의 올해 임단협 찬성률이 낮아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대차 노사가 내년 신사업을 둘러싼 갈등이 첨예할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노란봉투법 대혼란⑤] 현대차그룹 노조 반발에 해외투자 차질 빚나, 정의선 로봇·자율주행차 신사업 '빨간불'

▲ 현대자동차 보스턴다이내믹스의 로봇 개 스팟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렉싱턴에 위치한 타이어 제조기업 미쉐린 공장에서 작업하는 모습. <보스턴다이내믹스>


그동안 현대차 임단협 잠정합의안에 대한 노조원 찬성률은 2022년 61.9%, 2023년 58.8%, 2024년 58.9% 기록했다. 최근 3년 동안 60% 안팎의 찬성률을 보였지만 올해는 과반을 겨우 넘기는 데 그쳤다. 

일각에서는 현대차 노사가 올해 임단협에서 신사업 유치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놓은 만큼 내년 3월 노란봉투법이 시행되고, 노조에 힘이 실리면 해외 투자를 둘러싼 노사 갈등이 더 깊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기아 노조는 올해 임단협부터 신사업 관련 공장을 국내에 우선 건설해야 한다는 단체협상 안건을 올리며, 현대차 노조보다 더 강력한 요구를 하고 있다.

수소차, 로봇, 미래항공 모빌리티 등 신사업을 비롯해 전기차, 주행거리연장형 전기차(EREV) 등 친환경차의 핵심 부품을 생산·조립하는 공장을 국내에 설립하는 조항을 단체협약에 넣을 것을 주장하고 있다.

기아 노조는 결국 지난 16일 5차 협상 만에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파업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12일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했고, 19일에는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정 회장 입장에서 신사업을 국내에서 추진하는 사안은 쉽게 결정할 수 없는 문제다.

현대차그룹은 로봇과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경쟁사들보다 한 발 뒤처져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율주행차와 관련해서는 아직 국내법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데이터 수집에서부터 어려움이 있다. 부품 생산 공장을 국내에 새로 건설하는 사안을 추진하려면 관련 사업에서 몇 년이 늦어질 공산이 크다.

신사업 동력을 잃지 않고 경쟁사들을 따라가기 위해서라도 서둘러 신사업 투자 집행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지만, 노조 반발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노란봉투법이 내년 시행 전에 보완되지 않는다면 현대차와 기아 노조가 신사업 추진에 대해 개입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본다”며 “자동차 분야에서 자율주행 기술과 로봇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 가고 있기 때문에, 정 회장으로서도 거점을 국내로 돌리는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