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인텔 지원 오히려 역효과 전망, TSMC 투자전략도 불확실성 키워

▲ 미국 트럼프 정부가 인텔 지분 확보를 대가로 보조금을 제공하는 정책은 오히려 인텔 사업 비효율성을 높이고 TSMC의 투자도 늦추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됐다. 인텔 반도체 파운드리 홍보용 이미지.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정부의 인텔 지분 투자가 무리한 시설 투자로 이어져 오히려 사업 효율성을 낮추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신용평가사 피치의 분석이 나왔다.

대만 TSMC가 인텔의 공장 증설에 대응해 미국에 투자 속도를 늦출 가능성도 제시됐다.

17일 신용평가사 피치 보고서를 보면 인텔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반도체 산업 정책이 의도치 않은 부정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피치는 미국 정부가 인텔에 보조금을 제공하는 대신 약 9.9%의 지분을 확보하게 되며 반도체 공장 투자를 앞당겨야 한다는 압박을 더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인텔이 대형 파운드리 고객사 물량을 수주하기 전부터 대규모 설비 투자를 무리하게 진행한다면 경제성을 확보하기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는 관측도 이어졌다.

피치는 “이는 인텔의 현금흐름 및 신용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인”이라며 “기술 경쟁력 확보 여부와 무관하게 구조적 사업 비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와 AMD 등 기업에 인텔 파운드리 활용을 압박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그러나 이들 기업은 현재 인공지능(AI) 반도체를 비롯한 주요 제품 생산을 TSMC에 의존하고 있어 미국의 압박으로 수익성에 타격이 불가피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피치는 “인텔 파운드리 활용은 반도체 설계 업체들의 공급망을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며 “인텔과 TSMC의 공정 기술이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별도의 설계가 필요해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에 1650억 달러(약 227조8천억 원) 상당의 투자를 예고한 TSMC의 계획에 변동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인텔이 미국 정부 지원에 힘입어 반도체 공장 증설을 서두른다면 TSMC가 일부 고객사 물량을 빼앗길 가능성을 고려해 투자를 늦출 수 있기 때문이다.

피치는 “TSMC는 미국의 인텔 지원이 현지 사업에 불이익으로 돌아온다고 판단할 경우 미국 내 투자 속도를 늦추거나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고 전했다.

결국 미국 트럼프 정부의 무리한 정책이 여러 반도체 기업들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피치는 “미국의 인텔 지원은 자국에 이익이 되도록 하겠다는 목적을 두고 있지만 인텔과 TSMC의 투자 속도, 사업 규모 등에 모두 차질을 일으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