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오른쪽)과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가 14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미·중 통상 협상장에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중국과 통상 협상을 통해 틱톡 소유권을 미국이 가져오도록 큰 틀에서 합의했는데 오라클을 포함한 기업 참여로 처리 방안이 구체화하는 모양새다.
CBS는 16일 취재원 발언을 인용해 “틱톡이 미국에서 계속 사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기업 컨소시엄에 오라클이 포함돼 있다”고 보도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15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미·중 회담 직후 기자단에 틱톡 관련 질문에 “합의를 봤다”며 “미국이 통제하는 구조로 바꾸는 것”이라고 밝혔다.
리청강 중국 상무부 부부장도 “중국은 자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확실히 지킬 것”이라며 관련 기술 수출 심사도 법에 따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미·중 양국이 틱톡을 어떻게 처분할지 큰 틀에서 합의를 이룬 가운데 오라클을 비롯한 미국 업체가 컨소시엄을 이뤄 틱톡을 인수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온 것이다.
미국 연방의회는 2024년 4월23일 틱톡이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는 한 미국에서 서비스를 금지해 퇴출시키겠다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조 바이든 전임 대통령도 법안에 서명했다.
사용자 개인정보가 틱톡을 통해서 중국에 유출돼 안보를 해칠 가능성을 바이든 정부는 이유로 들었다. 대법원도 이 법을 9:0 만장일치로 지지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미국 사업권을 인수할 기업이나 투자자를 찾겠다며 여러 차례 행정명령을 통해 법 집행을 유예했다.
이에 틱톡 사업권이 트럼프 정부에서 추진하는 미·중 통상 협상 안건으로까지 오른 상황인데 오라클이 인수 후보군에 든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자신의 트루스소셜 공식 계정을 통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오는 19일에 통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틱톡 이야기도 오고갈 공산이 크다.
다만 CBS는 바이트댄스와 같은 중국 기업이 어느 수준까지 관여할지와 틱톡의 핵심인 추천 알고리즘 통제권을 누가 가질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짚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