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가스공사가 2025년 3분기에도 흑자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지만 민수용 미수금 회수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은 미수금 회수에 필수적인 요금 인상이 미뤄지면서 재무 부담이 이어지는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
 
가스공사 흑자 기조에도 미수금 증가세 부담, 최연혜 미뤄지는 요금 인상 한숨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가스공사 민수용 미수금 회수에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분석된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26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가스공사가 발전용 미수금과 상업용 도시가스 미수금을 대부분 회수한 상황에서 민수용 미수금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수금은 정부 정책에 따라 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가격에 연료를 공급할 때 향후 받을 외상값인 미수금을 발생 당시 시점에 손실로 잡지 않고 자산으로 회계 처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가스공사와 지역난방공사가 활용하는 제도로 2023 회계연도부터 정부의 열요금 정책에 따라 시행됐다.

가스공사 전체 미수금은 2023년 말 15조7659억 원을 기록한 뒤 2024년부터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상업용 미수금은 2023년 7758억 원에서 2025년 2분기 967억원으로 87.5% 감소했다. 발전용 미수금의 경우 2025년 2분기 판매가격이 원가를 초과해 미수금을 모두 회수했다.

반면 민수용 미수금은 2023년 13조110억 원에서 올해 2분기 14조1353억 원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미수금 감소세를 이끌어왔던 상업용 및 발전용 미수금이 대부분 해결된 상황에서 14조 원이 넘는 대규모 민수용 미수금 회수는 여전히 요원한 상황에 놓여있다.

특히 가스요금 인상 미뤄지고 있다는 점은 최연혜 사장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하는 요소로 꼽힌다.

최 사장은 2022년 12월 취임하며 미수금 및 부채 비율이 급증함에 따라 자구 노력이 절실하다고 진단했다. 그 뒤 2024년 5월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 사장은 “안정적 가스 공급을 위해서는 조속한 요금 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올해도 요금인상 필요성이 부각됐지만 대선과 민생 안정화 기조에 따라 계속 미뤄지고 있다.

2026년에도 가스요금 인상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한전의 전력망 구축 문제로 전력요금 인상을 더 시급하게 추진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행 요금체계가 유지될 경우에도 한전은 2027년까지는 2021~2023년의 누적 영업적자를 모두 해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가스공사는 2027년말에도 11조3500억 원의 누적미수금이 남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스공사 흑자 기조에도 미수금 증가세 부담, 최연혜 미뤄지는 요금 인상 한숨

▲ 해외사업 실적이 저하됨에 따라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도 분기 미수금 회수 분위기가 꺾일 가능성에 힘을 싣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진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키티맷에 위치한 LNG 설비 모습. <연합뉴스>


성종화 LS증권 연구원은 “가스공사는 기본적 영업에서 회수 금액이 민수용 미수금 관련 이자 증가액을 상쇄하는 단계에는 와 있으나 본격적 회수 국면 진입을 위해서는 요금인상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큰 기여를 하던 해외사업 실적이 저하됨에 따라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도 분기 미수금 회수에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3분기 3100억 원대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7% 가량 하락한 수치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가스공사는 해외사업에서 2년 연속으로 연간 매출 1조 원을 달성해 재무 부담을 최소화하고 미래 성장에 필요한 투자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을 얻기도 했다. 그럼에도 3분기에는 원자재 가격 약세와 해외 법인의 적자 인식으로 실적 저하가 예상된다.

특히 호주 지역 해외자원 개발 사업이 수익성이 하락했고 캐나다 사업 역시 상업운전 초기 단계에서 발생하는 비용 인식이 가스공사 실적 둔화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최 사장은 저렴한 미국 LNG 도입으로 원가를 낮추는 등의 자구책을 추진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지난 8월과 9월 북미 LNG 장기 계약을 체결했는데 이는 기존 중동 계약보다 저렴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2본격적 가스 수입국 간의 비중 개선으로 요금 인상과는 별개로 자체적 원가 하락과 미수금 축소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LNG 원료비 인하 노력을 바탕으로 에너지 비용 부담을 낮추고 가스공사 재무구조를 정상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다만 안정적 천연가스 공급을 위해서는 요금 인상을 통한 조속한 미수금 해소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