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NHN은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헬스미래추진단이 추진하는 ‘2025년도 제2차 한국형 ARPA-H(의료고등연구계획국) 프로젝트’에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고 24일 밝혔다.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보건안보 확립 △미정복질환 극복 △바이오헬스 초격차 기술 확보 △복지·돌봄 개선 △필수의료 혁신 등 5대 미션을 설정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개발을 목표로 한다.
 
NHN, 보건복지부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에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

▲ 24일 NHN은 ‘2025년도 제2차 한국형 ARPA-H(의료고등연구계획국) 프로젝트’에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NHN은 이 가운데 ‘복지·돌봄 개선’ 분야에서 추진되는 ‘극초고령사회에서의 노쇠에 대한 AI 기반 예방적 돌봄 서비스 개발’ 과제에 참여한다.

이번 연구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이 주관하고 NHN, 고려대의료원, 차 의과학대학교, 뉴마핏, 론픽 등 6개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한다. 

연구 기간은 2025년 7월부터 2029년 12월까지이며 정부 연구개발비 최대 127억5천만 원이 투입된다.

연구진은 노쇠 특화 AI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기존 심폐·근력·인지 기능 중심의 노쇠 진단을 넘어 대사능까지 포함하는 ‘메타 바이오마커’를 도출해 노쇠 수준을 정밀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고령층 대상 맞춤형 예방 돌봄 서비스를 구현한다. 

프로젝트는 연구개발과 사업화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NHN은 초기 단계에서 AI 모델 개발에 참여하고 이후 주관기관으로 프로젝트를 주도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성과를 자사의 통합 돌봄 플랫폼 ‘와플랫 AI생활지원사’와 연계해 생활습관 개선, 신체 기능 강화, 인지 자극, 정서 지원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새로운 AI 돌봄 시스템은 병원, 체육시설, 웨어러블 기기 등에서 수집되는 다차원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개인별 건강 상태를 상시 점검하고 잠재 위험을 예측한다. 이를 개인 맞춤형 관리 서비스와 자동 연계해 실질적인 건강 증진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HN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 선정은 전국 19개 지자체에 ‘와플랫 AI생활지원사’를 제공하며 축적한 기술력과 사업 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연구를 성공적으로 완수해 초고령사회 돌봄 문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