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수직계열화’를 통해 경쟁기업보다 앞서 나갈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24일 “현재 미국 내 배터리셀부터 시스템통합(SI)까지 수직계열화를 완성한 기업은 LG에너지솔루션 뿐”이라며 “향후 테슬라가 수직계열화를 달성할 것으로 보이나 시간이 필요하고 배터리셀의 내제화 수준은 높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현대차증권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내 유일한 ESS '수직계열화'로 경쟁력 커"

▲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내 에너지저장장치 사업 수직계열화를 바탕으로 향후 시장점유율을 2위까지 높일 것 이라고 24일 전망했다.


그는 “미국 내 셀 공장 수직계열화는 향후 투자세액공제, 국내생산인센티브(DCA) 요건을 만족시키는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강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022년 미국 내 에너지저장장치 시스템통합기업 NEC에너지솔루션스(현 LG에너지솔루션버테크)를 인수해, 배터리셀→에너지저장장치 완제품→시스템통합에 이르는 역량을 확보했다.

강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과 미국법인 LG에너지솔루션버테크는 시스템통합, 완제품, 배터리셀 제조 통합 강점을 바탕으로, 미국 내 점유율을 2위권 수준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직계열화를 통해 에너지저장장치 사용자들이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완제품·배터리셀  관리를 일원화할 수 있어 LG에너지솔루션의 수주경쟁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기존 미국 내 에너지저장장치 2위 기업인 중국계 기업 선그로우(Sungrow)는 미국 내 중국산 제품 사용 규제에 따라 성장이 제한될 것으로 예측했다. 

선그로우는 중국산 배터리셀을 중국·인도에서 완제품으로 조립해 미국으로 수출했고 현지에서 시스템통합을 수행하는 사업구조를 지녔으며, 미국 내 배터리셀·완제품 생산시설을 갖추지 못했다.

강 연구원은 “(미국·독일계 합작회사 플루언스에너지의 경우) 미국 내 배터리셀 공급선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미국 내 배터리셀을 제조하는 한국 기업들이 배터리셀보다 완제품 또는 시스템통합 연계 판매를 원하고 있어 물량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바라봤다. 

그는 “따라서 배터리셀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LG에너지솔루션버테크의 점유율이 높아질 여력이 크고, 이는 LG에너지솔루션의 에너지저장장치 사업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에너지저장장치 사업 매출은 2025년 3조2천억 원에서 2026년 8조7천억 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