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디스플레이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올레드(OLED) 사업 강화를 바탕으로 2026년에는 수익성이 본격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남궁현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24일 LG디스플레이 목표주가를 기존 1만3천 원에서 1만6천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23일 LG디스플레이 주가는 1만3320원에 장을 마쳤다.
남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는 운영 효율화로 사업 구조 변화가 본격화됐다”며 “기존의 눈높이에서 벗어나 밸류에이션(적정 기업가치) 재평가가 정당성이 확보된 구간”이라고 분석했다.
LG디스플레이는 2025년 3분기 매출 6조9천억 원, 영업이익 4579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15개 분기 만에 최대 실적을 거두는 것이다.
북미 세트업체(애플)의 스마트폰, 태블릿, 워치 신제품 출시 효과와 모바일 고객사 내 점진적인 시장점유율 확대가 실적 개선의 배경으로 파악된다.
또 애플워치 내 패널 공급 경쟁사였던 일본 재팬디스플레이(JDI)가 사업 철수를 선언하면서 반사이익을 누릴 것으로 보인다.
2026년에도 고객사의 물량 재배분에 따른 모바일 매출 상승, OLED TV 대면적화(주력 크기: 65 → 77인치 이상) 등으로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LG디스플레이는 2026년 매출 26조8천억 원, 영업이익 1조5천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실적 전망치보다 매출은 3.6%, 영업이익은 71.9% 증가하는 것이다.
남 연구원은 “2026년 예상 주당순자산가치(BPS) 1만7231원에 목표 주가순자산비율(P/B) 0.9배를 적용해 목표주가를 1만6천 원으로 상향했다”며 “OLED 비중 확대(2021년 41% → 2025년 60% 수준 전망)에 따른 체질 개선으로 올해 흑자전환, 내년 영업이익 성장이 본격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병현 기자
올레드(OLED) 사업 강화를 바탕으로 2026년에는 수익성이 본격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 남궁현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24일 LG디스플레이 목표주가를 기존 1만3천 원에서 1만6천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연합뉴스>
남궁현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24일 LG디스플레이 목표주가를 기존 1만3천 원에서 1만6천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23일 LG디스플레이 주가는 1만3320원에 장을 마쳤다.
남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는 운영 효율화로 사업 구조 변화가 본격화됐다”며 “기존의 눈높이에서 벗어나 밸류에이션(적정 기업가치) 재평가가 정당성이 확보된 구간”이라고 분석했다.
LG디스플레이는 2025년 3분기 매출 6조9천억 원, 영업이익 4579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15개 분기 만에 최대 실적을 거두는 것이다.
북미 세트업체(애플)의 스마트폰, 태블릿, 워치 신제품 출시 효과와 모바일 고객사 내 점진적인 시장점유율 확대가 실적 개선의 배경으로 파악된다.
또 애플워치 내 패널 공급 경쟁사였던 일본 재팬디스플레이(JDI)가 사업 철수를 선언하면서 반사이익을 누릴 것으로 보인다.
2026년에도 고객사의 물량 재배분에 따른 모바일 매출 상승, OLED TV 대면적화(주력 크기: 65 → 77인치 이상) 등으로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
LG디스플레이는 2026년 매출 26조8천억 원, 영업이익 1조5천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실적 전망치보다 매출은 3.6%, 영업이익은 71.9% 증가하는 것이다.
남 연구원은 “2026년 예상 주당순자산가치(BPS) 1만7231원에 목표 주가순자산비율(P/B) 0.9배를 적용해 목표주가를 1만6천 원으로 상향했다”며 “OLED 비중 확대(2021년 41% → 2025년 60% 수준 전망)에 따른 체질 개선으로 올해 흑자전환, 내년 영업이익 성장이 본격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