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산업통상자원부가 해상풍력 보급의 가속화를 위해 간담회를 열었다.

산업부는 23일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해상풍력 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부 해상풍력 사업자 대상 간담회 열어, 보급 확산 위한 기반 마련 논의

▲ 산업통상자원부가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 대회의실에서 ‘해상풍력 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이번 행사는 국내 해상풍력의 선행 프로젝트인 2023~2024년 경쟁입찰 선정 사업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정부는 민간 풍력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을 도입했으며 이후 모두 4.1GW(기가와트), 15개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다만 해상풍력 업계는 여전히 군작전성 협의, 공유수면 점·사용허가 등 복잡한 인허가와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는 지난 10일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을 추진할 목적에서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국내 해상풍력 보급에 속도를 높일 기반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국내 해상풍력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낙찰 사업의 성공적 정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부는 선행 프로젝트들이 책임 있게 완주하며 후속 프로젝트들의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국내 해상풍력 보급 확산 기반 마련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