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차세대 바이오 소재 산업화에 나선다.
원자력연 첨단방사선연구소는 방사선 육종 케나프 산업화 기술 협력을 위해 한국바이오케나프, 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케나프는 아욱과 무궁화속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생육이 빨라 4~5m까지 자란다. 줄기에서 얻는 섬유와 목분은 나일론이나 펄프를 대체해 종이, 로프, 건축자재 등 다양한 산업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이번 협약은 지난 5월 두 기업과 방사선 기반 케나프 관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것을 기반으로 이 소재의 산업 현장 적용과 글로벌 협력 확대를 본격화할 목적에서 이뤄졌다.
한국바이오케나프는 방사선 육종으로 개발된 새로운 케나프 품종을 국내외에 보급하고 아프리카 및 동남아 등 해외 재배기지를 활용해 글로벌 바이오매스 공급망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썬원은 기후변화 대응형 생분해성 토양보습제 제조기술과 케나프 기반 바이오매스 활용 분야에서 연구원과 협력해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한다.
정병엽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장은 “케나프는 친환경 산업 소재로서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 자원”이라며 “기술이전을 바탕으로 이뤄진 이번 협약은 케나프와 관련 기술의 산업계 확산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원자력연 첨단방사선연구소는 방사선 육종 케나프 산업화 기술 협력을 위해 한국바이오케나프, 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차세대 바이오 소재 산업화를 추진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케나프는 아욱과 무궁화속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생육이 빨라 4~5m까지 자란다. 줄기에서 얻는 섬유와 목분은 나일론이나 펄프를 대체해 종이, 로프, 건축자재 등 다양한 산업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이번 협약은 지난 5월 두 기업과 방사선 기반 케나프 관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것을 기반으로 이 소재의 산업 현장 적용과 글로벌 협력 확대를 본격화할 목적에서 이뤄졌다.
한국바이오케나프는 방사선 육종으로 개발된 새로운 케나프 품종을 국내외에 보급하고 아프리카 및 동남아 등 해외 재배기지를 활용해 글로벌 바이오매스 공급망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썬원은 기후변화 대응형 생분해성 토양보습제 제조기술과 케나프 기반 바이오매스 활용 분야에서 연구원과 협력해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한다.
정병엽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장은 “케나프는 친환경 산업 소재로서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 자원”이라며 “기술이전을 바탕으로 이뤄진 이번 협약은 케나프와 관련 기술의 산업계 확산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