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전력공사가 분산에너지 체계 전환을 목표로 장기 배전계획을 마련했다.
한전은 ‘제1차 장기 배전계획’을 수립한 뒤 산업통상자원부 제314차 전기위원회 보고를 거쳐 해당 계획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처음으로 수립된 장기 배전계획으로 2024~2028년까지 5년 동안의 배전망 증설과 운영 계획, 신기술 및 제도 등을 담았다.
한전은 전국 173개 지자체와 협력해 발전사업 허가 현황을 조사하고 앞으로 배전망에 연결될 분산에너지 용량을 예측했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배전망 연계 분산에너지는 2024년 말 25.5GW(기가와트)에서 2028년 말 36.6GW로 약 4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전은 분산에너지 적기 연계를 목표로 5년 동안 2조 원, 전기사용자망에는 8조2000억 원 등 모두 10조2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을 세웠다.
정부와 협력해 △인공지능(AI) 기반 배전망 운영을 위한 분산에너지 지능형 인프라 확대 △한전과 전력거래소의 전력계통운영 협조체계 강화 △배전계통 운영 신뢰도 기준 강화 등 안정적 전력 공급에 필요한 정책도 추진한다.
한전은 배전망 증설 및 운영계획 외에도 민간 협력 분산형 에너지 체계구축을 위한 정책도 마련한다고 덧붙였다.
한전은 2025년 말부터 제주 지역에서 민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활용해 분산형 에너지 체계를 시범적으로 운영한 뒤 2027년부터 본격 시행에 나선다.
이외에도 올해 하반기 2035년까지의 분산 전력망 기술 로드맵을 발표하고 한전과 민간 사이의 협의체를 구성해 기술 및 정책 교류를 확대하는 등 분산에너지 관련 산업 활성화를 추진한다.
한전 관계자는 “이번 계획으로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이행하고 지속할 수 있는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한전은 ‘제1차 장기 배전계획’을 수립한 뒤 산업통상자원부 제314차 전기위원회 보고를 거쳐 해당 계획을 최종적으로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 한국전력공사가 분산에너지 체계 전환을 목표로 장기 배전계획을 마련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처음으로 수립된 장기 배전계획으로 2024~2028년까지 5년 동안의 배전망 증설과 운영 계획, 신기술 및 제도 등을 담았다.
한전은 전국 173개 지자체와 협력해 발전사업 허가 현황을 조사하고 앞으로 배전망에 연결될 분산에너지 용량을 예측했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배전망 연계 분산에너지는 2024년 말 25.5GW(기가와트)에서 2028년 말 36.6GW로 약 4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전은 분산에너지 적기 연계를 목표로 5년 동안 2조 원, 전기사용자망에는 8조2000억 원 등 모두 10조2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을 세웠다.
정부와 협력해 △인공지능(AI) 기반 배전망 운영을 위한 분산에너지 지능형 인프라 확대 △한전과 전력거래소의 전력계통운영 협조체계 강화 △배전계통 운영 신뢰도 기준 강화 등 안정적 전력 공급에 필요한 정책도 추진한다.
한전은 배전망 증설 및 운영계획 외에도 민간 협력 분산형 에너지 체계구축을 위한 정책도 마련한다고 덧붙였다.
한전은 2025년 말부터 제주 지역에서 민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활용해 분산형 에너지 체계를 시범적으로 운영한 뒤 2027년부터 본격 시행에 나선다.
이외에도 올해 하반기 2035년까지의 분산 전력망 기술 로드맵을 발표하고 한전과 민간 사이의 협의체를 구성해 기술 및 정책 교류를 확대하는 등 분산에너지 관련 산업 활성화를 추진한다.
한전 관계자는 “이번 계획으로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이행하고 지속할 수 있는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