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달러화가 미국 주간 고용 지표 개선과 유럽 통화 및 엔화 약세 영향으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19일 “노동시장 둔화 우려가 완화된 가운데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에 대한 매파적 시장 평가가 이어지면서 달러는 강세가 됐다”며 “달러 반등을 고려할 때 추가 하락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차액결제선물환(NDF) 원/달러 환율 1개월물은 1386.08원으로 3.92원 하락해 출발한 것으로 예측됐다.
미국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23만1천 건을 기록해 지난주 26만4천 건과 시장 예상 24만 건을 모두 하회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장은 FOMC 회의 결과에 대해 미국이 예상보다 강경한 긴축 정책을 펼칠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달러 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파운드화는 영란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금리 인하 여지를 열어두면서 약세를 보였다”며 “엔화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달러보다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면 해당 통화의 가치는 안정되거나 강세를 보인다.
하지만 영란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으로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찾아 다른 나라의 통화나 자산으로 자본을 옮기면서 파운드화 가치는 약세로 돌아선 것으로 파악됐다. 전해리 기자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19일 “노동시장 둔화 우려가 완화된 가운데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에 대한 매파적 시장 평가가 이어지면서 달러는 강세가 됐다”며 “달러 반등을 고려할 때 추가 하락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 달러화가 미국 주간 고용 지표 개선과 유럽 통화 및 엔화 약세로 소폭 상승했다. <연합뉴스>
차액결제선물환(NDF) 원/달러 환율 1개월물은 1386.08원으로 3.92원 하락해 출발한 것으로 예측됐다.
미국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23만1천 건을 기록해 지난주 26만4천 건과 시장 예상 24만 건을 모두 하회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장은 FOMC 회의 결과에 대해 미국이 예상보다 강경한 긴축 정책을 펼칠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달러 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파운드화는 영란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금리 인하 여지를 열어두면서 약세를 보였다”며 “엔화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달러보다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면 해당 통화의 가치는 안정되거나 강세를 보인다.
하지만 영란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으로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찾아 다른 나라의 통화나 자산으로 자본을 옮기면서 파운드화 가치는 약세로 돌아선 것으로 파악됐다. 전해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