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이창용 "물가안정 목표제 통해 통화정책 운용 독립성 확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현지시각 18일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대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물가안정 목표제를 통해 통화정책 운용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현지시각 18일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본부에서 진행한 미셸 캉드쉬 강연 행사에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대담에서 “내게는 물가안정 목표제가 정치적 압력을 신경 쓰지 않게 해주는 좋은 도구”라고 말했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에 금리인하 압박을 지속한 가운데 전날 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한국은행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목표치(현재 2.0%)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준금리를 조절하는 물가안정 목표제를 운용하고 있다.

이 총재는 “물가안정 목표라는 명분으로 뭔가 해달라는 (정치권의) 요구가 있을 때 그건 내 임무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며 “그 덕분에 중앙은행으로서 더 정기적 관점을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이 기준금리를 상대적으로 조금 높게 유지하는 이유는 금융안정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한국은 가계부채 비율 등을 고려해 다른 나라보다 금리를 약간 높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회복력이 강하고 견고한 금융부문을 보유한 대규모 경제와 달리 한국과 같은 환경에서는 금융안정이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바라봤다.

이 총재는 “또 한국은 비은행 예금 취급기관들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금융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다”며 “이 부문 규제가 덜 엄격해 문제가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