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자동차그룹이 현재 미국 자동차 관세 부담에 노출된 정도가 경쟁사보다 높다는 평가가 나왔다.

나이스신용평가는 17일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크레디트 세미나 2025’를 열고 미국 관세 부과가 현대차그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했다.
 
나이스신용평가 "현대차그룹 미국 메타플랜트 가동효과로 관세부담 4조 이하로 축소"

▲ 현대자동차그룹이 현재 미국 자동차 관세 부담에 노출된 정도가 경쟁사보다 높다는 평가가 나왔다. 사진은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본사. <현대자동차그룹>


박세영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실장은 “현대차그룹은 고고도미사일(사드) 사태 이후 중국 시장 판매량이 크게 감소했지만, 2020년대 이후 미국과 인도 등에서 판매를 확대해 왔다”며 “최근 수년 동안 중국 시장 판매 감소를, 평균 판매 단가가 높은 북미 시장 판매 확대로 보완하면서 수익성 높은 시장에 대한 판매 비중을 꾸준히 늘려왔다”고 설명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현지 판매 가운데 수입 물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현대차그룹이 58%를 차지했다. 도요타는 48%, 제너럴모터스(GM)는 27%를 기록했다.

현대차그룹의 관세 부담 노출 수준이 높은 편이지만, 판매 지역과 제품 구성 등이 우수해 수익성 저하에 대한 대응능력이 우수한 편이라고 평가했다.

관세 비용은 도요타가 6조2천억 원, 현대차그룹 5조3천억 원, GM 5조1천억 원, 폭스바겐이 4조6천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수치는 현대차그룹에게 자동차 관세 15%가 적용됐을 때를 가정한 것이다. 도요타는 지난 16일부터 자동차 관세 15%를 적용받고 있지만, 현대차그룹은 아직까지 관세 25%를 부담하고 있다.

박 실장은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가동 효과를 감안하면 관세 부담은 4조원 이하로 축소될 것”이라며 “현대차그룹 영업이익률은 8% 안팎으로 GM이나 폭스바겐보다 높기 때문에 관세 부담은 흡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현재는 일본 자동차보다 관세가 높은 한국 자동차의 판매량 자체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