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홈플러스가 인수 대상자를 찾지 못해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또 연장했다.
홈플러스는 5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연장해 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했다.
서울회생법원이 지정한 제출 기한은 10일이다. 애초 기한인 7월10일에서 2달 연장됐는데 이를 또 한 번 미뤄달라고 부탁한 것이다.
홈플러스는 조건부 인수계약을 체결한 뒤 공개입찰을 병행하는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9월까지 인수 후보와 인수의향서를 주고받고 예비실사에 착수해 최종 인수자를 확정해야 한다.
10월에는 인가 전 인수합병 내용을 포함한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공개입찰조차 진행하지 못했다.
홈플러스는 서울회생법원에 보증금 지급 허가 요청도 함께 냈다. 홈플러스는 회생절차가 개시된 뒤 현금흐름이 악화했고 임대료 조정 협상이 지연된 점포 15곳은 올해 안에 폐점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폐점 예정 점포에서만 영업손실이 약 800억 원 발생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700억 원 이상이 임대료 부담인 것으로 파악된다. 남희헌 기자
홈플러스는 5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연장해 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했다.

▲ 홈플러스가 5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을 연장해 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했다.
서울회생법원이 지정한 제출 기한은 10일이다. 애초 기한인 7월10일에서 2달 연장됐는데 이를 또 한 번 미뤄달라고 부탁한 것이다.
홈플러스는 조건부 인수계약을 체결한 뒤 공개입찰을 병행하는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9월까지 인수 후보와 인수의향서를 주고받고 예비실사에 착수해 최종 인수자를 확정해야 한다.
10월에는 인가 전 인수합병 내용을 포함한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공개입찰조차 진행하지 못했다.
홈플러스는 서울회생법원에 보증금 지급 허가 요청도 함께 냈다. 홈플러스는 회생절차가 개시된 뒤 현금흐름이 악화했고 임대료 조정 협상이 지연된 점포 15곳은 올해 안에 폐점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폐점 예정 점포에서만 영업손실이 약 800억 원 발생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 700억 원 이상이 임대료 부담인 것으로 파악된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