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협회가 교통사고 과실 비율과 관련한 다툼을 상담해주는 온라인 공간을 마련한다.
손해보험협회는 교통사고 과실 비율 정보포털에 별도의 게시판을 만들어 교통사고 과실 비율과 관련한 인터넷 상담 서비스를 30일부터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교통사고 당사자는 본인 인증을 거쳐 사고 내용을 입력하고 블랙박스 영상 등 자료를 올리면 전담 변호사를 통해 법령이나 판례 등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손해보험협회는 유선으로도 과실 비율 문의에 대답할 수 있도록 전문 상담인력을 배치한다. 또 빈도가 높은 질문과 사고 유형을 상담사례로 만들어 연 2회 제공하기로 했다.
현재 손해보험협회는 과실 비율을 공식적으로 상담해주는 창구를 마련해두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및 전화로 이 분야의 상담을 제공해 인터넷이나 주변으로부터 얻은 왜곡된 정보를 바탕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최대한 줄일 계획을 세워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과실 비율 관련 분쟁 심의 청구는 2013년 2만6093건에서 2017년 6만1405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
손해보험협회는 교통사고 과실 비율 정보포털에 별도의 게시판을 만들어 교통사고 과실 비율과 관련한 인터넷 상담 서비스를 30일부터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 손해보험협회가 운영하는 과실비율 정보포털 홈페이지 화면.
교통사고 당사자는 본인 인증을 거쳐 사고 내용을 입력하고 블랙박스 영상 등 자료를 올리면 전담 변호사를 통해 법령이나 판례 등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손해보험협회는 유선으로도 과실 비율 문의에 대답할 수 있도록 전문 상담인력을 배치한다. 또 빈도가 높은 질문과 사고 유형을 상담사례로 만들어 연 2회 제공하기로 했다.
현재 손해보험협회는 과실 비율을 공식적으로 상담해주는 창구를 마련해두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및 전화로 이 분야의 상담을 제공해 인터넷이나 주변으로부터 얻은 왜곡된 정보를 바탕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최대한 줄일 계획을 세워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과실 비율 관련 분쟁 심의 청구는 2013년 2만6093건에서 2017년 6만1405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