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최저임금 인상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김 원내대표는 27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지금의 경제위기는 최저임금 인상을 무책임하게 추진한 때문"이라며 "다음해 최저임금만이라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관영 "경제위기는 최저임금 인상 때문, 장하성 아집 버려야"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장하성 실장이 26일 최저임금 인상은 소득주도 경제의 일부분에 불과하다고 밝힌 대목을 놓고 김 원내대표는 “아집으로 정책을 추진해서는 안된다"며 "많은 언론과 재계 인사들이 문제라고 지적하는 데에 변명하려 하지 말고 현실을 바로 봐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최저임금 인상 때문에 생계비 경감, 사회안전망 확충 등 정책도 실효성 있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장이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고  봤다.

김 원내대표는 “최저임금은 시장의 지불능력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시장이 감당하지 못하는 정책은 정상적 정책이라고 볼 수 없다”며 “지금 시장은 급격한 방향전환을 버티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저임금이 급격하게 올라 추가 재정 투입과 사회적 비용 지출 등을 불러왔다는 바라봤다.

김 원내대표는 “일자리 안정자금은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에 따른 보완 대책”이라며 “최저임금이 시장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 안에서 올랐다면 일자리 안정자금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저임금이 급격히 인상되지 않았다면 지금의 갈등 때문에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도 들지 않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저임금위원회는 2019년에 적용될 최저임금을 시간당 8350원으로 7월14일 결정했다. 올해 최저임금보다 10.9% 오른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