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이른 시일 안에 원 구성 협상을 타결하고 국회를 정상화해 밀린 현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야당에 요구했다.

홍 원내대표는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에서 “산적한 민생 현안에 태풍 피해까지 우려되는데 국회의 문은 여전히 열리지 않고 있다”며 “더 이상 국회가 직무유기하는 모습을 국민들께 보여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홍영표 "국회 직무유기 더는 안 돼, 원 구성 조속 마무리해야"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홍 원내대표는 “국회 원 구성 실무협상에서 하루 빨리 타결하는 게 시급하다”며 “늦어도 이번 주에는 원 구성 협상을 마무리하고 국회를 정상화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야는 3일 원내수석부대표 회동을 통해 20대 국회 후반기 원 구성 실무협상을 시작한다. 국회의장단과 상임위원장 선출 등을 놓고 치열한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홍 원내대표는 “국회를 정상화해야 시급한 민생법안을 처리하고 경찰청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국회의장 선출 등 현안을 처리할 수 있다”며 “당리당략이 아닌 국민만을 위해 원 구성 협상이 조속히 타결될 수 있도록 야당이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미국이 자동차분야에서 보호무역 관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을 경계했다. 미국 정부는 수입산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최고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홍 원내대표는 “우리나라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이 관세 폭탄에 포함되면 국내 자동차산업은 엄청난 타격을 받게 된다”며 “현대기아차와 한국GM 등 완성차회사는 물론 1천여 개의 자동차 부품회사들도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철저한 대비와 대응에 나서야 할 때”라며 “정부와 기업, 민간협회가 팀이 돼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그는 “국회도 미국 의회를 대상으로 외교채널을 가동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서라도 조속한 국회정상화가 시급해 야당이 하루속히 초당적 협력에 나서주길 거듭 요청드린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