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산업이 ‘기회의 땅’으로 바라봤던 이란에서 사업을 따내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에 경제제재 조치를 다시 내릴 것을 공식화하면서 프로젝트 발주가 이뤄지지 않을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대림산업, '기회의 땅' 이란에서 일감 확보 기대 '가물가물'

▲ 박상신 대림산업 건설사업부 대표이사.


9일 CNN과 워싱턴포스트 등 해외언론에 따르면 이란의 경제제재 조치가 해제된 지 2년 반만에 다시 시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란 핵협정에서 탈퇴한 뒤 이란 경제제재를 부활하겠다는 뜻을 공식화했다. 이란 핵협정에 함께 서명했던 유럽 동맹국들이 반발하고 있지만 백악관의 의지는 확고한 것으로 파악된다.

백악관은 이미 12일 이란 경제제재 해제기간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결정을 의회에 통보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성명을 통해 8월6일과 11월4일에 차례대로 경제제재를 기존 상태로 복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란 경제제재가 다시 실시되면 이란에서 프로젝트가 발주되길 고대했던 건설사들의 실망감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란 발주처들이 공사 발주에 그동안 속도를 내지 못했던 이유로 자금 조달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이 꼽혔는데 경제제재가 다시 시작되면 자금난이 더욱 가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발주처의 자금난은 고스란히 공사 발주 중단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특히 대림산업은 이란과 쌓아온 신뢰를 바탕으로 대규모 일감 수주 가능성이 큰 건설사로 꼽혔는데 이런 기대감이 모두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대림산업은 2016년 초 이란의 경제제재 조치가 본격적으로 해제될 때부터 수혜를 볼 가능성이 가장 큰 대형 건설사로 주목받았다.

대림산업은 국내 건설사 가운데 가장 먼저 이란에 진출한 회사로 건설업계에서는 ‘이란 터줏대감’이라는 말을 듣는다.

이란과 이라크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을 때 다른 건설사들은 사업을 중단하고 이란을 떠났지만 대림산업은 현지에서 지사를 철수하지 않고 공사를 계속해 신뢰를 다졌다.

핵 개발로 경제제재가 시작된 뒤에도 대림산업은 이란에서 지사를 계속 운영하며 정부기관이나 발주처들과 계속 관계를 유지한 것으로 전해진다.

사업환경이 나빴던 시기에도 이란사업에 계속 발을 담갔던 만큼 대규모 발주가 일어나면 대림산업에 가장 많은 공사를 따낼 것으로 증권가는 전망했다.

대림산업은 2017년 2조2천억 원 규모의 이스파한 정유공장 개선사업의 가계약을 체결했다. 이 밖에도 이스파한~아와즈 철도사업(53억 달러)아 박티아리 수력발전소 프로젝트(19억 달러) 등의 양해각서도 체결하며 본계약 가능성을 높였다.

그러나 경제제재가 기정사실화하면서 여태껏 추진해왔던 모든 프로젝트에서 손을 떼야 할 수도 있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미국과 이란의 상황이 좋지 않게 흘렀던 만큼 2017년부터 이란에서 사업을 보수적으로 보고 사업계획을 세워뒀다”며 “당분간 이란에서 사업을 진행하지 못하게 된 것은 사실이지만 사업적으로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