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건설사와 시멘트기업 주가가 들썩이고 있다.

경제협력사업 추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종목이 과열양상을 보이면서 주가가 요동치고 있다.
 
건설사와 시멘트기업 주가 숨고르기, '너무 뛰었다' 경계심 나타나

▲ 북한의 도로 모습.


23일 현대건설 주가는 직전 거래일보다 1.39%(700원) 오른 5만1100원을 보이며 4일 연속 상승한 채 장을 마감했다. 17일과 비교하면 4거래일 만에 26.02% 급등한 것이다.

하지만 장 초반과 비교하면 현대건설 주가는 크게 힘을 쓰지 못한 것이다.

현대건설 주가는 장이 시작하자마자 직전 거래일보다 10% 가까이 오른 5만5400원을 보였지만 오후에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장 마감 직전에는 오히려 직전 거래일보다 하락하기도 했으나 막판에 소폭 상승한 채 장을 마쳤다.

대우건설 주가도 초반에 3.82% 올랐지만 장 마감 때는 오히려 3.03% 하락했다. 

대림산업과 GS건설 주가도 모두 장 초반에 4% 안팎씩 상승했지만 장 마감을 한 시간가량 남겨두고 상승폭을 대부분 반납해 각각 0.85%, 0.27% 오른 채 장을 마감했다.

시멘트기업 주가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3일 쌍용양회 주가는 2.18% 하락했다. 장 초반에 10.69% 급등했지만 오후에 급락했다.

현대시멘트 주가는 16.91%까지 급등했지만 2.75% 상승한 정도로 장을 마쳤으며 아세아시멘트 주가도 11.72%까지 올랐지만 최종적으로 1.56% 오르는 데 그쳤다.

성신양회 주가는 오후 1시경까지 19.55% 올랐지만 이후 하락해 8.38% 오른 채 장을 마감했다.

남북 정상회담 이후 경제협력사업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주식시장 전반에 퍼지면서 건설사와 시멘트기업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려 급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건설사와 시멘트기업 주가가 단기간에 큰 폭으로 오르면서 차익을 실현하려는 투자자들의 매도물량이 나오는 데다 아직 기대감만 있는 상황이라 주가 변동폭이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