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중국인 입국자가 지난해 사드보복 여파 이후 1년 만에 40만 명을 넘어섰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는 처음으로 15만 명을 보였다.
법무부가 17일 공개한 외국인 입국·체류 동향에 따르면 3월 외국인 입국자 수는 139만7694명으로 직전 월보다 29.7% 늘어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4% 증가했다.
이 가운데 중국인 입국자 수가 42만7618명으로 집계돼 사드보복 여파 이후 처음으로 40만 명을 넘었다.
중국인 입국자 수는 지난해 2월 61만 명 수준에서 3월 37만 명으로 급감한 뒤 40만 명을 넘지 못했다.
3월 기준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은 225만4085만 명이었다. 직전 월보다 5.7%(12만1874명),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9%(22만2408명) 증가했다.
체류외국인 가운데 중국인이 가장 많았다. 한국에 머무는 중국인은 103만606명으로 전체의 45.7%에 이르렀다. 이어 베트남(7.9%), 태국(7.4%), 미국(6.7%), 우즈베키스탄(2.9%) 등 순이었다.
3월 외국인 유학생은 15만1명으로 2월 14만3926명보다 4.2%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 늘어나면서 처음으로 15만 명을 넘겼다. 국적별로 보면 유학생 비중은 중국(47.3%), 베트남(21.9%), 몽골(5.3%), 우즈베키스탄(4.0%) 등으로 높았다. [비즈니스포스트 서하나 기자]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는 처음으로 15만 명을 보였다.

▲ 중국인 입국자 수가 사드보복 여파 이후 처음으로 40만 명을 넘어섰다. <법무부>
법무부가 17일 공개한 외국인 입국·체류 동향에 따르면 3월 외국인 입국자 수는 139만7694명으로 직전 월보다 29.7% 늘어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4% 증가했다.
이 가운데 중국인 입국자 수가 42만7618명으로 집계돼 사드보복 여파 이후 처음으로 40만 명을 넘었다.
중국인 입국자 수는 지난해 2월 61만 명 수준에서 3월 37만 명으로 급감한 뒤 40만 명을 넘지 못했다.
3월 기준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은 225만4085만 명이었다. 직전 월보다 5.7%(12만1874명),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9%(22만2408명) 증가했다.
체류외국인 가운데 중국인이 가장 많았다. 한국에 머무는 중국인은 103만606명으로 전체의 45.7%에 이르렀다. 이어 베트남(7.9%), 태국(7.4%), 미국(6.7%), 우즈베키스탄(2.9%) 등 순이었다.
3월 외국인 유학생은 15만1명으로 2월 14만3926명보다 4.2%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 늘어나면서 처음으로 15만 명을 넘겼다. 국적별로 보면 유학생 비중은 중국(47.3%), 베트남(21.9%), 몽골(5.3%), 우즈베키스탄(4.0%) 등으로 높았다. [비즈니스포스트 서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