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를 연달아 만나 최저임금제도를 개선해 달라고 요청했다.
박 회장은 4일 오후 국회를 방문해 우 원내대표와 김 원내대표를 차례로 방문해 중소기업의 가장 큰 현안인 최저임금제도 개선과 생계형 적합업종 법제화를 요청했다.
박 회장은 “해외와 비교했을 때 한국의 최저임금 산입범위가 너무 협소하고 인력난으로 어쩔 수 없이 외국인력을 고용하는 기업은 내국인과 외국인의 임금이 역전되고 있다”며 “매달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하는 급여지만 최저임금 산입범위에서 제외되고 있는 상여금과 숙식비·교통비 등 복리후생비를 최저임금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6월 말에 어묵과 장류, 순대 등 47개 업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기간이 끝나는 데 대해 소상공인의 걱정이 매우 크다”며 “4월 임시국회에서 여야가 합의해 생계형 적합업종을 법제화해줄 것을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5일 김동철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를 만나 같은 내용을 건의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박 회장은 4일 오후 국회를 방문해 우 원내대표와 김 원내대표를 차례로 방문해 중소기업의 가장 큰 현안인 최저임금제도 개선과 생계형 적합업종 법제화를 요청했다.
박 회장은 “해외와 비교했을 때 한국의 최저임금 산입범위가 너무 협소하고 인력난으로 어쩔 수 없이 외국인력을 고용하는 기업은 내국인과 외국인의 임금이 역전되고 있다”며 “매달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하는 급여지만 최저임금 산입범위에서 제외되고 있는 상여금과 숙식비·교통비 등 복리후생비를 최저임금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6월 말에 어묵과 장류, 순대 등 47개 업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기간이 끝나는 데 대해 소상공인의 걱정이 매우 크다”며 “4월 임시국회에서 여야가 합의해 생계형 적합업종을 법제화해줄 것을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5일 김동철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를 만나 같은 내용을 건의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