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한국전력기술과 손잡고 열병합, 신재생에너지에서 사업의 기회를 찾는다.
KT는 한국전력기술과 21일 광화문 KT 사옥에서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에너지 융복합 공동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전력기술은 발전소와 플랜트 설계를 담당하는 한국전력공사의 계열사다.
KT와 한국전력기술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열병합 및 신재생에너지분야에서 사업기회를 공동으로 발굴하기로 했다.
KT는 2017년 세계 최초로 통합에너지 관리 플랫폼 ‘KT-MEG’를 개발해 약 1만2천 곳의 에너지 생산과 소비를 통합관제하고 있다. 한국전력기술은 40년 넘게 축적한 발전소 설계 기술력과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 회사는 발전소 운영감시, 위험상황 예측진단 및 위험 조기경보, 분산형 에너지관리 등이 가능한 발전소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한다. 스마트발전소 구현을 위한 기술개발도 함께 진행하기로 했다.
윤경림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장은 “열병합과 신재생에너지분야에서 공동사업을 개발해 두 회사 에너지사업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고객 편익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배수 한국전력기술 대표이사 사장은 “두 회사의 핵심 역량과 기술력을 접목해 기술 혁신을 이뤄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에너지사업의 확대를 위해 KT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
KT는 한국전력기술과 21일 광화문 KT 사옥에서 ‘최첨단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에너지 융복합 공동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윤경림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장(왼쪽)과 이배수 한국전력기술 대표이사 사장이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전력기술은 발전소와 플랜트 설계를 담당하는 한국전력공사의 계열사다.
KT와 한국전력기술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열병합 및 신재생에너지분야에서 사업기회를 공동으로 발굴하기로 했다.
KT는 2017년 세계 최초로 통합에너지 관리 플랫폼 ‘KT-MEG’를 개발해 약 1만2천 곳의 에너지 생산과 소비를 통합관제하고 있다. 한국전력기술은 40년 넘게 축적한 발전소 설계 기술력과 운영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두 회사는 발전소 운영감시, 위험상황 예측진단 및 위험 조기경보, 분산형 에너지관리 등이 가능한 발전소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한다. 스마트발전소 구현을 위한 기술개발도 함께 진행하기로 했다.
윤경림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장은 “열병합과 신재생에너지분야에서 공동사업을 개발해 두 회사 에너지사업의 부가가치를 확대하고 고객 편익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배수 한국전력기술 대표이사 사장은 “두 회사의 핵심 역량과 기술력을 접목해 기술 혁신을 이뤄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에너지사업의 확대를 위해 KT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