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이 국내 라면시장에서 점유율을 회복하는 데 힘입어 올해 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경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2일 “경쟁사에서 라면 가격을 올리고 대형 신제품의 흥행이 줄어들고 있다”며 “농심은 올해 국내에서 라면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농심, 라면시장 점유율 회복해 올해 수익 대폭 좋아져

▲ 박준 농심 대표이사 부회장.


오뚜기와 삼양식품 등 경쟁회사들이 라면 신제품을 내놓으면서 농심은 2010년부터 국내에서 점유율이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해 4분기 국내 라면시장에서 농심 점유율은 2016년 4분기보다 0.7% 올랐는데 앞으로 점유율이 점점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농심은 국내 라면시장에서 점유율이 오르면 판촉 등 마케팅 비용의 부담도 줄어든다.

이 연구원은 “라면회사들이 올해 국내에 내놓는 새 브랜드 수가 지난해보다 작을 것”이라며 “이에 더해 경쟁품 가격도 오른 만큼 농심은 올해 판매장려금이나 판촉비 등 마케팅 비용 부담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바라봤다.

브랜드 확장 전략도 올해 농심이 라면 수요를 회복하는 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브랜드 확장 전략은 새 제품을 출시할 때 기존 브랜드와 연결하는 마케팅 전략인데 농심이 신라면 블랙을 출시한 것이 그 사례로 꼽힌다.

농심이 올해 새 브랜드 내놓기보다 브랜드 확장에 주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농심은 꾸준히 팔리는 브랜드 수가 경쟁사보다 10배 이상 많다”며 “확장할 브랜드를 선택하는 데 선택폭이 경쟁사보다 넓다”고 파악했다.

해외 라면사업도 전망이 밝다.

농심이 올해 미국에서 월마트나 코스트코 등에서 판매 제품군을 늘리고 미국 중부와 동부 지역에서 판매망을 넓혀 나갈 것으로 이 연구원은 바라봤다.

농심은 올해 미국에서 매출 2572억 원, 영업이익 165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는데 지난해 실적 추정치보다 매출은 14.8%, 영업이익은 32% 늘어나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농심이 중국에서 실적을 회복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면서도 “하지만 지난해 4분기보다 매출이 늘고 수익이 좋아질 것은 확실하다”고 내다봤다.

농심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3570억 원, 영업이익 121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6.7%, 영업이익은 26.0% 증가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