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이 디지털 혁신을 담당하는 IT전문조직인 ‘DT Lab(Digital Transformation Lab)’을 새로 만들었다.
DT Lab 총괄부사장으로 김정한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연구소장이 영입됐다.
하나금융지주는 계열사인 하나금융티아이 안에 CIC(Company In Company) 형태로 DT Lab을 신설했다고 12일 밝혔다.
CIC는 사내 독립기업체제를 말한다.
DT Lab은 하나금융그룹에서 필요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IoT(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등 핵심적 원천기술을 확보한다. 관계사와 협업을 통해 공동 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금융전문가와 IT전문가가 힘을 합쳐 금융서비스를 상향 표준화하는 데 힘쓰기로 했다.
DT Lab에서 디지털 혁신을 발 빠르게 추진하고 IT업계의 우수 인재를 신속하게 영입하기 위해서 인재 채용·조직 관리·보상 체계 등도 따로 운영된다.
김 연구소장이 DT Lab 총괄 부사장을 맡게 됐다.
김 부사장은 소프트웨어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삼성전자에 재직했을 당시 내장형 메모리(SSD 및 eMMC)와 관련한 핵심 소프트웨어 기술을 끌어올렸다.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에서 인문계 전공자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육성하는 ‘통섭형 인재 양성 시스템(SCSA)’을 추진하기도 했다.
김 부사장은 하나금융 안에서 CTO(Chief Technology Officer)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금융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는 데 힘쓰기로 했다. 또 우수인재 영입 등도 직접 추진한다.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은 “앞으로도 외부 전문가를 많이 영입해 IT분야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새롭게 만들어진 DT Lab이 해외 금융사 및 핀테크 기업과 제휴 협력을 통해 그룹의 혁신을 책임지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
DT Lab 총괄부사장으로 김정한 삼성전자 소프트웨어 연구소장이 영입됐다.

▲ 김정한 하나금융지주 DT Lab 총괄 부사장 겸 CTO.
하나금융지주는 계열사인 하나금융티아이 안에 CIC(Company In Company) 형태로 DT Lab을 신설했다고 12일 밝혔다.
CIC는 사내 독립기업체제를 말한다.
DT Lab은 하나금융그룹에서 필요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IoT(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등 핵심적 원천기술을 확보한다. 관계사와 협업을 통해 공동 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금융전문가와 IT전문가가 힘을 합쳐 금융서비스를 상향 표준화하는 데 힘쓰기로 했다.
DT Lab에서 디지털 혁신을 발 빠르게 추진하고 IT업계의 우수 인재를 신속하게 영입하기 위해서 인재 채용·조직 관리·보상 체계 등도 따로 운영된다.
김 연구소장이 DT Lab 총괄 부사장을 맡게 됐다.
김 부사장은 소프트웨어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삼성전자에 재직했을 당시 내장형 메모리(SSD 및 eMMC)와 관련한 핵심 소프트웨어 기술을 끌어올렸다.
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에서 인문계 전공자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육성하는 ‘통섭형 인재 양성 시스템(SCSA)’을 추진하기도 했다.
김 부사장은 하나금융 안에서 CTO(Chief Technology Officer)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금융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는 데 힘쓰기로 했다. 또 우수인재 영입 등도 직접 추진한다.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은 “앞으로도 외부 전문가를 많이 영입해 IT분야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새롭게 만들어진 DT Lab이 해외 금융사 및 핀테크 기업과 제휴 협력을 통해 그룹의 혁신을 책임지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