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이 IT전문가들로 자문단을 구성해 금융정책에 신기술을 적극 반영한다.
최 위원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테크자문단’ 1차회의에서 “정부가 빠르게 바뀌는 기술을 더 잘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도록 기술분야 전문가를 중심으로 테크자문단을 구성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분야는 IT기술을 활용하면서 많은 부분이 정보화돼 신기술과 융합하기 쉽고 혁신 속도도 빠르다”며 “제도와 이를 설계하는 정부는 속도를 따라잡기 어려워 시장을 항상 쫓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지금 시점에서 신기술과 금융의 융합을 적극 추진하면서 리스크는 최소화해야 하는 정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테크자문단을 통해 기술 이해도를 높여 기술과 금융의 융합을 제대로 활용하고 두 분야의 소통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바라봤다.
앞으로 테크자문단을 통해 신기술 현안의 이해와 동향, 전망을 함께 나누고 핀테크 활성화 등의 정책을 만들 때 과제별로 받은의견을 반영하기로 했다.
최 위원장은 “금융과 기술 사이에 이해의 간극이 넓어 두 분야의 종사자나 전문가들이 원활하고 활발하게 소통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금융분야는 데이터를 많이 쌓았고 수요도 높아 어느 분야보다도 데이터를 활용하는 효과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크자문단 구성원은 김우창 카이스트 교수, 김의석 한국조폐공사 팀장, 이군희 서강대학교 교수, 이승건 핀테크산업협회장, 조영임 가천대학교 교수, 차상균 서울대학교 교수, 홍기훈 홍익대학교 교수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최 위원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테크자문단’ 1차회의에서 “정부가 빠르게 바뀌는 기술을 더 잘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도록 기술분야 전문가를 중심으로 테크자문단을 구성하게 됐다”고 밝혔다.

▲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테크자문단' 1차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그는 “금융분야는 IT기술을 활용하면서 많은 부분이 정보화돼 신기술과 융합하기 쉽고 혁신 속도도 빠르다”며 “제도와 이를 설계하는 정부는 속도를 따라잡기 어려워 시장을 항상 쫓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지금 시점에서 신기술과 금융의 융합을 적극 추진하면서 리스크는 최소화해야 하는 정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테크자문단을 통해 기술 이해도를 높여 기술과 금융의 융합을 제대로 활용하고 두 분야의 소통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바라봤다.
앞으로 테크자문단을 통해 신기술 현안의 이해와 동향, 전망을 함께 나누고 핀테크 활성화 등의 정책을 만들 때 과제별로 받은의견을 반영하기로 했다.
최 위원장은 “금융과 기술 사이에 이해의 간극이 넓어 두 분야의 종사자나 전문가들이 원활하고 활발하게 소통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금융분야는 데이터를 많이 쌓았고 수요도 높아 어느 분야보다도 데이터를 활용하는 효과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크자문단 구성원은 김우창 카이스트 교수, 김의석 한국조폐공사 팀장, 이군희 서강대학교 교수, 이승건 핀테크산업협회장, 조영임 가천대학교 교수, 차상균 서울대학교 교수, 홍기훈 홍익대학교 교수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