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태어난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과거와 비교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16년 생명표’에 따르면 2016년 태어난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2.4년으로 2015년보다 0.3년, 10년 전인 2006년보다 3.6년 증가했다.
남성의 기대수명은 79.3년, 여성의 기대수명은 85.4년으로 집계됐다. 2015년과 비교해 남성은 0.3년, 여성은 0.2년 증가했다. 2006년과 비교하면 남성은 3.9년, 여성은 3.3년 늘었다.
통계청은 연령별 사망확률을 적용해 이 수치를 산정했다. 사망확률은 특정 연령의 사람이 목표한 연령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사망할 확률을 뜻한다.
60세 남성은 22.5년, 여성은 27.2년을 더 살 것으로 예상됐다. 10년 전인 2006년과 비교해 60세의 기대여명(특정 연령의 사람이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이 남녀 모두 2.9년 증가했다.
모든 목표 연령에서 여성의 생존 확률이 남성보다 높았다.
2016년 출생아가 80세까지 살 수 있을 확률은 남성의 경우 57.9%, 여성은 78.4%로 조사됐다. 10년 전과 비교해 남성은 14%포인트, 여성은 10.4%포인트 늘었다.
4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성 98.1%, 여성 98.8%로 확인됐다. 65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성 87.2%, 여성 94.5%로 집계됐다.
고령층의 기대수명(나이와 기대여명의 합)은 1970년 뒤로 지속적으로 길어졌다.
증가폭은 65세의 경우 남성이 더 컸다. 75세와 85세는 여성의 기대수명 증가폭이 더 컸다.
1970년과 2016년을 비교하면 65세의 기대수명 증가폭은 남성이 8.2년, 여성이 7.7년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75세의 기대수명 증가폭은 남성이 4.8년, 여성이 5.2년이었다. 85세의 기대수명 증가폭은 남성 2.2년, 여성 2.2년이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소정 기자]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16년 생명표’에 따르면 2016년 태어난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2.4년으로 2015년보다 0.3년, 10년 전인 2006년보다 3.6년 증가했다.

▲ ‘2016년 생명표’에 따르면 2016년 태어난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2.4년으로 2015년보다 0.3년, 10년 전인 2006년보다 3.6년 증가했다. <뉴시스>
남성의 기대수명은 79.3년, 여성의 기대수명은 85.4년으로 집계됐다. 2015년과 비교해 남성은 0.3년, 여성은 0.2년 증가했다. 2006년과 비교하면 남성은 3.9년, 여성은 3.3년 늘었다.
통계청은 연령별 사망확률을 적용해 이 수치를 산정했다. 사망확률은 특정 연령의 사람이 목표한 연령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사망할 확률을 뜻한다.
60세 남성은 22.5년, 여성은 27.2년을 더 살 것으로 예상됐다. 10년 전인 2006년과 비교해 60세의 기대여명(특정 연령의 사람이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이 남녀 모두 2.9년 증가했다.
모든 목표 연령에서 여성의 생존 확률이 남성보다 높았다.
2016년 출생아가 80세까지 살 수 있을 확률은 남성의 경우 57.9%, 여성은 78.4%로 조사됐다. 10년 전과 비교해 남성은 14%포인트, 여성은 10.4%포인트 늘었다.
4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성 98.1%, 여성 98.8%로 확인됐다. 65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성 87.2%, 여성 94.5%로 집계됐다.
고령층의 기대수명(나이와 기대여명의 합)은 1970년 뒤로 지속적으로 길어졌다.
증가폭은 65세의 경우 남성이 더 컸다. 75세와 85세는 여성의 기대수명 증가폭이 더 컸다.
1970년과 2016년을 비교하면 65세의 기대수명 증가폭은 남성이 8.2년, 여성이 7.7년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75세의 기대수명 증가폭은 남성이 4.8년, 여성이 5.2년이었다. 85세의 기대수명 증가폭은 남성 2.2년, 여성 2.2년이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소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