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이 미국 하버드대의 경영저널 하버드비즈니스리뷰와 프랑스 인시아드경영대학원이 공동으로 실시하는 ‘2017년 글로벌CEO 경영평가’에서 세계 20위, 아시아 2위에 선정됐다.
이번 평가는 2006년 6월29일부터 기2017년 4월30일까지 아모레퍼시픽의 경영실적을 기준으로 이뤄져 24일 발표됐다.
1위는 패션브랜드 ‘자라’를 운영하는 스페인 인디텍스(INDITEX) 그룹의 파블로 이슬라 CEO, 2위는 영국의 광고그룹 WPP의 마틴 소렐 CEO, 3위는 미국 반도체 기업 NVIDIA의 젠슨 황 CEO가 차지했다.
아시아기업 경영자로는 서 회장이 20위, 일본 헬스케어기업인 시스멕스(SYSMEX)의 이에츠구 히사시CEO가 18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인 경영자가 순위에 오른 것은 2013년 윤종용 전 삼성전자 부회장(3위), 정몽구 현대차회장(6위) 이후 4년 만이다.
특히 서 회장은 글로벌 화장품기업인 미국 에스티로더의 브리지오 프레다(25위), 프랑스 로레알의 장-폴 아공(87위)보다 순위가 높았다.
평가를 공동주관한 프랑스 인시아드경영대학원의 나나 폰 베르누스 디렉터는 “아모레퍼시픽은 포브스가 뽑은 가장 혁신적인 회사 가운데 하나로 쿠션 기술과 같은 혁신을 이끌어왔다”며 “서 회장은 독서와 명상을 즐기고 평소 호기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런 점이 기업경영에서 장기적 성공을 도왔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을 연구해온 인시아드의 마이클 자렛 교수 역시 “서 회장은 언제나 새로운 기회를 탐색하는 창업가적 기질이 있다”며 “아직 미개척된 시장을 이해하는 통찰력,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현실화시키는 추진력도 돋보인다”고 평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
이번 평가는 2006년 6월29일부터 기2017년 4월30일까지 아모레퍼시픽의 경영실적을 기준으로 이뤄져 24일 발표됐다.
▲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
1위는 패션브랜드 ‘자라’를 운영하는 스페인 인디텍스(INDITEX) 그룹의 파블로 이슬라 CEO, 2위는 영국의 광고그룹 WPP의 마틴 소렐 CEO, 3위는 미국 반도체 기업 NVIDIA의 젠슨 황 CEO가 차지했다.
아시아기업 경영자로는 서 회장이 20위, 일본 헬스케어기업인 시스멕스(SYSMEX)의 이에츠구 히사시CEO가 18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인 경영자가 순위에 오른 것은 2013년 윤종용 전 삼성전자 부회장(3위), 정몽구 현대차회장(6위) 이후 4년 만이다.
특히 서 회장은 글로벌 화장품기업인 미국 에스티로더의 브리지오 프레다(25위), 프랑스 로레알의 장-폴 아공(87위)보다 순위가 높았다.
평가를 공동주관한 프랑스 인시아드경영대학원의 나나 폰 베르누스 디렉터는 “아모레퍼시픽은 포브스가 뽑은 가장 혁신적인 회사 가운데 하나로 쿠션 기술과 같은 혁신을 이끌어왔다”며 “서 회장은 독서와 명상을 즐기고 평소 호기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런 점이 기업경영에서 장기적 성공을 도왔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을 연구해온 인시아드의 마이클 자렛 교수 역시 “서 회장은 언제나 새로운 기회를 탐색하는 창업가적 기질이 있다”며 “아직 미개척된 시장을 이해하는 통찰력,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현실화시키는 추진력도 돋보인다”고 평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