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중국 부품회사의 납품거부로 멈췄던 중국공장 4곳을 조기에 재가동하면서 주가급락에서 벗어났다.
30일 현대차 주가는 전날보다 0.69% 떨어진 14만3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29일 현대차 중국공장 가동이 멈췄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는 30일 오전 장중 한때 3.82%나 떨어졌지만 오후에 재가동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하락 폭이 줄었다.
![]() |
||
▲ 이원희 현대자동차 사장. |
베이징잉루이제가 부품공급을 다시 시작하면서 베이징현대는 공장을 재가동하게 됐지만 현재 베이징잉루이제와 밀린 대금을 놓고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현대는 이번 공장가동 중단으로 큰 손실을 보지 않겠지만 공장가동 중단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히는 사드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판매 및 생산부진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김준성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본질적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정치적 문제로 약화한 소비심리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공장 가동중단으로 현대차는 3분기 추정 세전영업이익의 0.4%에 해당하는 60억 원 정도의 손실을 봤을 것”이라고 파악했다.
현대차는 3월부터 중국에서 사드보복을 겪으면서 판매가 급감했다. 베이징현대는 2017년 1월부터 7월까지 41만5천 대를 팔아 2016년 같은 기간보다 29.1% 줄었다.
김 연구원은 “중국과 일본이 과거 영토분쟁을 벌이면서 일본 완성차회사들이 중국에서 판매를 회복하는 데 7개월이 소요됐으며 폴크스바겐은 디젤게이트로 물의를 빚으면서 글로벌 판매량을 회복하는 데 11개월이 걸렸다”며 “현대차가 2017년 상반기부터 2018년까지 신차 10종을 출시하기로 하면서 중국 판매량을 점짐적으로 회복해나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대차그룹 부품계열사 주가는 이날 약세를 보였다. 현대모비스 주가는 0.2% 떨어진 24만4500원, 현대위아 주가는 2.19% 떨어진 7만1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현대제철 주가는 전날과 동일한 5만8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기아차 주가는 통상임금 1심 선고를 하루 앞둔 이날 2.8% 오른 3만67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