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봉 NH농협생명 대표이사 사장이 지역 농∙축협조합을 활용한 방카슈랑스에 집중된 NH농협생명의 수익모델을 바꾼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 사장은 기존 농업인 고객을 유지하는 동시에 대도시 고객군을 확대해 NH농협생명을 자산 100조 원대 보험사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 |
||
▲ 서기봉 NH농협생명 대표이사 사장. |
NH농협생명의 전체 보험계약 가운데 지역 농·축협조합을 통한 보험계약의 비중이 60%에 이른다. NH농협생명이 그동안 전국 4천여 곳이 넘는 지역 농·축협 지점의 방카슈랑스에 주력해왔기 때문이다.
지방에 사는 고령층인 농·축협 조합원들이 NH농협생명의 주요 고객이 된 까닭이다. 이런 수익모델은 안정적인 영업이 가능하지만 사업을 확장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서 사장은 신채널사업본부를 중심으로 텔레마케팅(TM)과 보험설계사 등 방카슈랑스 외 다른 영업채널을 확대해 방카슈랑스 비중과 다른 판매채널 비중을 5:5로 맞추는 목표도 세웠다.
신채널사업본부는 보험설계사와 다이렉트, 대리점, 방카슈랑스 등 지역 농·축협조합 판매채널을 제외한 모든 영업채널을 관리하는 조직이다.
그동안 방카슈랑스 영업에 집중하다보니 보험설계사 등을 통한 영업이 활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 방카슈랑스는 주로 저축성보험을 중심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새 국제회계기준 도입을 앞두고 상품 포트폴리오를 개선하는데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서 사장은 이전에 NH농협은행에서 근무하며 핀테크사업을 진두지휘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슈어테크 도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인슈어테크란 보험(insurance)과 기술(technology)을 결합한 용어로 보험관련 핀테크를 뜻한다.
건강관리에 관심이 많은 고령층인 농업인 고객군과 함께 디지털 헬스케어 등 신기술에 익숙한 젊은 고객군을 동시에 겨냥한 전략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NH농협생명은 3월부터 KT와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 연구개발 협약을 맺고 디지털 헬스케어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온라인 보험을 개발하고 있다.
NH농협생명은 ‘우리아이지킴이NH통합어린이보험’, ‘평생안심NH건강보험’ 등 특정 보험상품의 고객을 대상으로 헬스케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6월부터 헬스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새 보험상품인 ‘농업인 특화 보장성보험’도 내놓는다.
금융권 관계자는 “서 사장은 NH농협생명의 주력상품을 저축성보험에서 보장성보험으로 옮기는 과정에 나타나는 수익 악화를 고객군 확대 및 영업력 향상을 통해 극복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