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추진해 온 여러 금융개혁안들이 탄핵정국 속에서 계속 제동이 걸리고 있다.
탄핵정국에 이어 조기대선이 치러지면 임 위원장의 금융개혁 동력은 더욱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임 위원장은 취임한 뒤 2년 동안 '거친개혁'으로 표현되는 금융개혁 강조해왔지만 최근 금융개혁의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 임 위원장은 16일 취임 2주년을 맞이한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 |
금융권의 성과연봉제 도입도 사실상 멈췄다.
임 위원장은 각 시중은행들의 이사회 의결을 통해 성과연봉제 도입을 추진하도록 했지만 금융노조를 중심으로 한 노조의 거센 반대에 논의는 더 이상 진전되지 않고 있다. 허권 금융노조 위원장이 새로 취임하면서 금융노조를 중심으로 한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더욱 강경해진 점도 부담이다.
임 위원장이 대표적인 정책금융상품으로 내세운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는 실패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의 가입자 수는 신규 고객보다 해지 고객이 많아 오히려 1만5천 명 줄었다. 비과세 혜택을 받는 조건이 까다로운 데다 수익률도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임 위원장은 올해 ‘ISA 시즌2’로 불리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개편안을 내놓기로 했지만 상황을 반전할 개편안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그밖에 P2P금융과 크라우드펀딩 등 핀테크를 활용한 금융산업도 최근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다.
임 위원장이 금융개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하향식으로 추진하다보니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맞지 않는 일방적이고 규제중심의 금융개혁 탓이라는 말도 나온다. 국내외 금융시장 변화와 금융회사 및 소비자 등의 구성원들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중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를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위해 강행하는 과정에서 쌓인 불만이 탄핵정국을 전후로 일제히 불거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탄핵정국이 본격화되고 조기대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임 위원장 리더십이 흔들린 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임 위원장은 박근혜 게이트가 불거졌던 지난해 11월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내정됐지만 탄핵정국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무산됐다. 이후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이슈와 관련해 전면에 나섰다.
금융위원회가 특검의 삼성그룹 수사에 연루되면서 역할과 관련된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오른 점도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이유로 꼽힌다.
금융권 관계자는 “탄핵정국과 미 트럼프 정부 출범 등으로 대내외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금융개혁보다는 민생안정에 무게가 쏠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새 정부가 들어설 경우 경제정책의 기조가 바뀔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