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인공신경망 번역 어플리케이션(앱) 파파고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파파고는 구글의 기술을 따라잡기 위해 자료(데이터)가 많이 필요한데 6월 정식 출시 덕에 방대한 자료를 모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파파고, 6월 정식버전 출시 예정
14일 네이버에 따르면 6월에 파파고의 정식버전을 출시할 계획을 세웠다. 정식버전에서 긴 글도 인공지능을 통해 번역될 수 있도록 바뀐다.
![]() |
||
▲ 한성숙 네이버 대표 내정자. |
인공신경망 기반 번역은 인공지능(AI)이 직접 자료를 찾아보고 학습해 결과를 산출하는 반면 기존 방식은 인간이 직접 자료를 주입해야 통계를 내린다. 인공지능은 새 번역거리를 받으면 가장 자연스럽다고 생각하는 결과를 내놓기 위해 공부하고 번역한 뒤 기억한다.
이 때문에 파파고는 공부량이 늘어날수록 번역의 정확도가 올라간다.
네이버는 이번 정식버전을 통해 파파고의 학습자료가 더 증가하는 선순환 구조로 변화를 기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파고의 과제는 자료 축적이다.
품질논란에서 벗어나거나 구글의 대항마로 크기 위해서 자료가 필요하다. 번역 자료가 많아질수록 품질의 고도화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네이버는 장문번역을 통해 자료를 많이 축적하려는 것일 수도 있다. 최근 파파고는 아직 품질의 고도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잘못된 번역을 제공한다는 말도 나왔다. 특히 한국 정서에 반하는 번역결과를 낸 탓에 이용자들의 불만이 표출되기도 했다.
◆ 네이버는 왜 파파고 성능을 높이려고 할까
파파고의 성능은 네이버의 글로벌 진출과 관련이 깊다. 업계에서는 네이버가 파파고를 통해 글로벌 진출에 한 계단 더 가까워진 셈으로 보고 있다.
![]() |
||
▲ 송창현 네이버랩스 대표 겸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CTO). 파파고는 네이버랩스의 첫 서비스다. |
네이버는 이미 다양한 서비스에 파파고의 기능을 접목하고 있다. 네이버의 라인에는 ‘다국어 번역봇’이라는 기능이 있는데 하나의 채팅방에서 한국어, 일본어, 영어, 중국어 등 4개국어를 번역해 각자 모국어로 소통할 수 있다. 소통이 더 원활해지려면 파파고가 뛰어난 번역능력을 보여줘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는 앞으로 글로벌시장에 다양한 서비스를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파파고로 언어의 장벽을 넘어선다면 구글의 ‘크롬’ 같은 웹브라우저 ‘웨일’ 등 네이버가 개발하는 신규 서비스를 세계에 내놓는 데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파파고, 구글과 시험대 올라
파파고는 구글의 번역기보다 자료가 더 많이 필요하다는 한계도 지적된다.
보통 3개국어를 번역하려면 파파고는 6개의 자료가 필요하지만 구글은 4개일 때도 가능할 수 있다.
구글은 한글->영어, 영어->일어 2가지의 번역 자료가 있으면 한글->일어 자료를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번역할 수 있다. 반면 파파고는 한글->영어, 영어->일어, 한글->일어 3가지의 자료가 필요하다.
파파고는 21일 구글과 번역능력의 시험대에 오른다.
이날 파파고는 구글 번역기,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출신 번역사와 겨룬다. 이번 대결은 국제통번역협회의 주최로 진행되고 세종사이버대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오후 3시에 시청할 수 있다. 30분의 시간이 주어지고 하나의 기사를 번역하면 된다.
업계 관계자는 “업계에서는 대개 인간 번역사가 구글과 파파고를 제치고 승리할 가능성을 더 높게 보고 있다”며 “파파고와 구글은 1분 안에 번역이 끝난다는 장점이 있지만 번역의 질을 보장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