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바이오팜이 해외 학술대회에서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와 관련한 연구를 발표한다.
SK바이오팜은 미국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가 12월5일부터 9일까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리는 2025 미국뇌전증학회(AES) 연례학술대회에서 세노바메이트 관련 연구 결과 등을 발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는 세노바메이트의 임상 효능, 안전성, 약동학(PK), 실사용데이터(RWD) 등 다양한 연구 결과가 공개된다.
청소년 및 성인 대상 전신 강직-간대발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연구는 최신 임상 연구 초록(LBA)으로 선정, 발표될 예정이다.
SK바이오팜이 9월 공개한 전신 발작 임상 톱라인 결과를 기반으로 하며 세노바메이트가 광범위 항발작제(ASM)로서 잠재력을 지닌다는 점을 임상적으로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로 평가된다.
현재 경구용 정제(Tablet) 형태로만 상용 가능한 세노바메이트의 새로운 제형인 경구용 현탁액의 임상 결과도 함께 발표된다.
해당 연구에서는 정제와 경구용 현탁액 간의 상대적 생체이용률이 유사하게 확인됐으며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투여가 가능함이 입증됐다. 해당 연구 결과에 힘입어 경구 현탁액 제형에 대한 신약승인신청서(NDA)를 연내 제출하기로 했다.
SK라이프사이언스는 ‘발작 감소를 위한 새로운 길을 비추다’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세션에서는 약물 난치성 뇌전증 치료의 진화 과정과 3세대 항발작제의 역할을 조명하고 실제 환자 치료 여정을 통해 치료 선택이 환자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최근 의료진의 인식 변화와 완전 발작 소실 달성을 위한 치료 접근법에 대한 토론도 진행된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파벨 클라인(미드애틀랜틱 뇌전증·수면센터장) △다니엘 베커(오하이오주립대학교 웩스너 메디컬센터 신경과 부교수, 뇌전증 센터 디렉터) △라마나 상카르(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 △존 M. 스턴(UCLA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 뇌전증센터 임상 프로그램 책임자) 등 세계적인 뇌전증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한다.
수니타 미스라 SK라이프사이언스 글로벌 임상개발 및 메디컬 담당 부사장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세노바메이트의 전신 발작 치료 가능성을 임상적으로 확인하고 세계적인 전문가들과 함께 뇌전증 치료의 혁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라며 “세노바메이트 관련 새로운 임상 데이터를 통해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의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
SK바이오팜은 미국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가 12월5일부터 9일까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리는 2025 미국뇌전증학회(AES) 연례학술대회에서 세노바메이트 관련 연구 결과 등을 발표한다고 24일 밝혔다.
▲ SK바이오팜(사진)이 미국 자회사 SK라이프사이언스로 12월5일부터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리는 '2025 미국 뇌전증학회' 연례학술대회에서 세노바메이트 관련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는 세노바메이트의 임상 효능, 안전성, 약동학(PK), 실사용데이터(RWD) 등 다양한 연구 결과가 공개된다.
청소년 및 성인 대상 전신 강직-간대발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3상 연구는 최신 임상 연구 초록(LBA)으로 선정, 발표될 예정이다.
SK바이오팜이 9월 공개한 전신 발작 임상 톱라인 결과를 기반으로 하며 세노바메이트가 광범위 항발작제(ASM)로서 잠재력을 지닌다는 점을 임상적으로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로 평가된다.
현재 경구용 정제(Tablet) 형태로만 상용 가능한 세노바메이트의 새로운 제형인 경구용 현탁액의 임상 결과도 함께 발표된다.
해당 연구에서는 정제와 경구용 현탁액 간의 상대적 생체이용률이 유사하게 확인됐으며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투여가 가능함이 입증됐다. 해당 연구 결과에 힘입어 경구 현탁액 제형에 대한 신약승인신청서(NDA)를 연내 제출하기로 했다.
SK라이프사이언스는 ‘발작 감소를 위한 새로운 길을 비추다’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세션에서는 약물 난치성 뇌전증 치료의 진화 과정과 3세대 항발작제의 역할을 조명하고 실제 환자 치료 여정을 통해 치료 선택이 환자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최근 의료진의 인식 변화와 완전 발작 소실 달성을 위한 치료 접근법에 대한 토론도 진행된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파벨 클라인(미드애틀랜틱 뇌전증·수면센터장) △다니엘 베커(오하이오주립대학교 웩스너 메디컬센터 신경과 부교수, 뇌전증 센터 디렉터) △라마나 상카르(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 △존 M. 스턴(UCLA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 뇌전증센터 임상 프로그램 책임자) 등 세계적인 뇌전증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한다.
수니타 미스라 SK라이프사이언스 글로벌 임상개발 및 메디컬 담당 부사장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세노바메이트의 전신 발작 치료 가능성을 임상적으로 확인하고 세계적인 전문가들과 함께 뇌전증 치료의 혁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라며 “세노바메이트 관련 새로운 임상 데이터를 통해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의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