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번 주 원/달러 환율 주요 변수로 엔화 환율 흐름이 꼽혔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24일 “다카이치 내각의 경기부양정책 재료가 소멸된 뒤 엔/달러 환율 흐름이 달러화 추가 강세는 물론 원/달러 환율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번 주 원/달러 환율 전망치는 1450~1490원으로 제시했다.
일본 정부는 현지시각으로 21일 21조3천억 엔(약 200조 원) 규모 경제 대책을 발표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취임 뒤 첫 경제 대책으로 시장에서 예상했던 17~20조 엔 규모를 상회했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대규모 국채를 발행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엔화 가치는 약세를 보였다.
엔화와 동조화 흐름을 보이는 원화도 영향을 받으면서 1460원대로 내렸던 원/달러 환율은 다시 1470원대로 올랐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선을 위협하는 가운데 엔화 가치 추이에 더욱 주목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시각이 나왔다.
박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은 원화 추가 약세 우려감 속에 좁은 박스권 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엔화 약세 폭이 추가로 확대될지 아니면 부양정책 재료 소멸로 엔화가 강세 전환할지를 주시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다만 원화 약세 폭이 확대되면 한국 정부가 개입할 수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박 연구원은 “1470원대에서는 정부의 개입 경계감이 강화되는 분위기”라며 “엔화 추이와 더불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의 추가 이탈과 1470원대에서 정부의 개입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라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24일 “다카이치 내각의 경기부양정책 재료가 소멸된 뒤 엔/달러 환율 흐름이 달러화 추가 강세는 물론 원/달러 환율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 이번 주 원/달러 환율이 1450~1490원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됐다. <연합뉴스>
이번 주 원/달러 환율 전망치는 1450~1490원으로 제시했다.
일본 정부는 현지시각으로 21일 21조3천억 엔(약 200조 원) 규모 경제 대책을 발표했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 취임 뒤 첫 경제 대책으로 시장에서 예상했던 17~20조 엔 규모를 상회했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대규모 국채를 발행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엔화 가치는 약세를 보였다.
엔화와 동조화 흐름을 보이는 원화도 영향을 받으면서 1460원대로 내렸던 원/달러 환율은 다시 1470원대로 올랐다.
원/달러 환율이 1500원선을 위협하는 가운데 엔화 가치 추이에 더욱 주목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시각이 나왔다.
박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은 원화 추가 약세 우려감 속에 좁은 박스권 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엔화 약세 폭이 추가로 확대될지 아니면 부양정책 재료 소멸로 엔화가 강세 전환할지를 주시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다만 원화 약세 폭이 확대되면 한국 정부가 개입할 수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박 연구원은 “1470원대에서는 정부의 개입 경계감이 강화되는 분위기”라며 “엔화 추이와 더불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의 추가 이탈과 1470원대에서 정부의 개입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라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