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로템은 20일 한국 사회·환경·지배구조(ESG) 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5 상장기업 ESG 평가'에서 통합 A+(매우 우수)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지난해 처음으로 A+ 등급을 받은 데 이어 2년 연속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회사 측은 “방산 중심의 사업구조로 인해 환경과 사회 영역의 관리 난이도가 다른 업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에도 체계적인 지속가능 경영과 관리에 집중해 일궈낸 성과”라며 “방산업계 ESG경영의 선도적 기준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환경 분야에서는 기후변화, 탄소중립, 자원순환 등 주요 환경 요소들을 이사회가 직접 심의하는 구조를 수립해 기후전략을 고도화했다. 그 결과 2024년 단위 매출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과 비교해 27%, 에너지 사용량은 24% 감축했다.
사회 분야에서는 협력사 상생 기반을 제고하기 위한 재무, 기술, 교육 등 다양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충처리 체계를 마련했다.
회사는 공급망 전반에 걸친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해 협력사 행동규범을 바탕으로 정기적인 ESG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86개 주거래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특별점검을 실시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글로벌 복합 경영환경 속에서 완벽한 품질과 적기 납품을 토대로 ESG는 물론 경제적 가치를 함께 실현하는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며 “앞으로도 투명성을 기반으로 꾸준한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성과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지난해 처음으로 A+ 등급을 받은 데 이어 2년 연속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 현대로템 본사 전경. <현대로템>
회사 측은 “방산 중심의 사업구조로 인해 환경과 사회 영역의 관리 난이도가 다른 업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에도 체계적인 지속가능 경영과 관리에 집중해 일궈낸 성과”라며 “방산업계 ESG경영의 선도적 기준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환경 분야에서는 기후변화, 탄소중립, 자원순환 등 주요 환경 요소들을 이사회가 직접 심의하는 구조를 수립해 기후전략을 고도화했다. 그 결과 2024년 단위 매출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과 비교해 27%, 에너지 사용량은 24% 감축했다.
사회 분야에서는 협력사 상생 기반을 제고하기 위한 재무, 기술, 교육 등 다양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고충처리 체계를 마련했다.
회사는 공급망 전반에 걸친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해 협력사 행동규범을 바탕으로 정기적인 ESG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86개 주거래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특별점검을 실시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글로벌 복합 경영환경 속에서 완벽한 품질과 적기 납품을 토대로 ESG는 물론 경제적 가치를 함께 실현하는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며 “앞으로도 투명성을 기반으로 꾸준한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성과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