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풀무원이 국내식품제조유통 및 식품서비스유통 사업부문 실적을 늘렸다. 반면 해외식품제조유통과 건강케어제조유통 사업부문은 영업손실을 냈다.
풀무원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8884억 원, 영업이익 381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6.6%, 영업이익은 14.4% 늘었다.
순이익은 217억 원으로 같은 기간 44.4% 증가했다.
국내식품제조유통 사업부문은 3분기 매출 4254억 원, 영업이익 288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5.5%, 영업이익은 16.7% 늘어난 수치다.
B2C(기업과 소비자 사이 거래) 사업은 식물성 지향 혁신제품과 실온ᐧHMR(가정간편식) 신제품 출시로 매출을 늘리고 수익성을 높였다.
B2B(기업 사이 거래) 사업은 주력인 어린이집과 학교 등 판매처의 안정적 성장세와 전략적 신규 채널 확대로 부문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풀무원다논은 그릭요거트 고성장에 힘입어 외형을 확대하고 수익성을 높였다.
식품서비스유통 사업부문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610억 원, 영업이익 148억 원을 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8.5%, 영업이익은 42.2% 늘었다.
산업체 중심 단체급식 매출 증가와 컨세션(공공장소 푸드코트)ᐧ휴게소 사업의 공항 채널 활성화 효과가 실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건강케어제조유통 사업부문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39억 원, 영업손실 11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9.1% 줄고 영업손실을 지속했다.
해외식품제조유통 사업부문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727억 원, 영업손실 20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대비 매출은 5.6% 늘고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미국법인은 두부 PB(자체브랜드) 제품의 북미 회원제 창고형 유통체인 입점과 면류 현지 셰프 레스토랑 그룹 B2B 신규 공급으로 안정적 외형 확대 기반을 마련하면서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법인은 회원제 채널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냉동김밥을 비롯한 냉동 카테고리와 면류 카테고리가 성장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23.7% 증가했다고 풀무원은 설명했다.
김종헌 풀무원 경영기획실장은 “식품제조유통사업, 식품서비스유통사업, 해외사업의 고른 성장이 전체 외형 확장과 수익 증대를 이끌면서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며 “4분기에도 식품제조유통부문의 신제품 효과와 식품서비스유통부문의 안정적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며 해외식품제조유통부문은 미국법인의 신규 매출처 확보와 중국법인의 K푸드 냉동 제품군 확대 효과를 발판 삼아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
풀무원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8884억 원, 영업이익 381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6.6%, 영업이익은 14.4% 늘었다.
▲ 풀무원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8884억 원, 영업이익 381억 원을 냈다.
순이익은 217억 원으로 같은 기간 44.4% 증가했다.
국내식품제조유통 사업부문은 3분기 매출 4254억 원, 영업이익 288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5.5%, 영업이익은 16.7% 늘어난 수치다.
B2C(기업과 소비자 사이 거래) 사업은 식물성 지향 혁신제품과 실온ᐧHMR(가정간편식) 신제품 출시로 매출을 늘리고 수익성을 높였다.
B2B(기업 사이 거래) 사업은 주력인 어린이집과 학교 등 판매처의 안정적 성장세와 전략적 신규 채널 확대로 부문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풀무원다논은 그릭요거트 고성장에 힘입어 외형을 확대하고 수익성을 높였다.
식품서비스유통 사업부문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610억 원, 영업이익 148억 원을 냈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8.5%, 영업이익은 42.2% 늘었다.
산업체 중심 단체급식 매출 증가와 컨세션(공공장소 푸드코트)ᐧ휴게소 사업의 공항 채널 활성화 효과가 실적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건강케어제조유통 사업부문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39억 원, 영업손실 11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9.1% 줄고 영업손실을 지속했다.
해외식품제조유통 사업부문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727억 원, 영업손실 20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대비 매출은 5.6% 늘고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미국법인은 두부 PB(자체브랜드) 제품의 북미 회원제 창고형 유통체인 입점과 면류 현지 셰프 레스토랑 그룹 B2B 신규 공급으로 안정적 외형 확대 기반을 마련하면서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법인은 회원제 채널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냉동김밥을 비롯한 냉동 카테고리와 면류 카테고리가 성장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23.7% 증가했다고 풀무원은 설명했다.
김종헌 풀무원 경영기획실장은 “식품제조유통사업, 식품서비스유통사업, 해외사업의 고른 성장이 전체 외형 확장과 수익 증대를 이끌면서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며 “4분기에도 식품제조유통부문의 신제품 효과와 식품서비스유통부문의 안정적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며 해외식품제조유통부문은 미국법인의 신규 매출처 확보와 중국법인의 K푸드 냉동 제품군 확대 효과를 발판 삼아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