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전력이 연료비 하락 효과에 내년까지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전유진 iM증권 연구원은 14일 “한전은 3분기 연료비 하락과 원전 이용률 상승으로 호실적을 기록했다”며 “2026년에도 연료비 약세와 지역별 도매전력요금제(LMP) 도입, 전기료 인상 등 긍정적 변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한전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7조5720억 원, 영업이익 5조6520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했다. 1년 전과 비교해 매출은 5.6%, 영업이익은 66.4% 늘어난 것이다.
호실적의 주요 배경으로 꼽히는 연료비 하락 효과는 4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됐다. 3분기 연료비는 1년 전보다 18.2% 줄었다.
석탄·액화천연가스(LNG)보다 발전단가가 낮은 원전 이용률이 높았던 영향이 있었다. 여기에 연료 가격 약세도 이어졌다.
한전은 연료비 하락에 4분기 영업이익 3조319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1년 전보다 37.2% 늘어나는 것이다.
전 연구원은 “2021년~2023년 급등한 연료비 여파가 아직까지는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전기료를 인상해 재무구조를 정상화해야 하지만 올해는 연료비 하락 효과만으로 충분한 영업이익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전 실적에 영향을 끼치는 전기료 인상은 2026년 하반기에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전 연구원은 “정부가 에너지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송전망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국내 송전망 독점 사업자인 한전이 추가 투자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기료 인상이 필수적일 것이다”고 내다봤다.
한전은 올해 연결기준 매출 98조9620억 원, 영업이익 14조860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5.9%, 영업이익은 77.6% 늘어나는 것이다.
전 연구원은 14일 한전 목표주가를 기존 4만7천 원에서 6만4천 원으로 올려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전날 한전 주식은 4만7650 원에 거래를 마쳤다. 조수연 기자
전유진 iM증권 연구원은 14일 “한전은 3분기 연료비 하락과 원전 이용률 상승으로 호실적을 기록했다”며 “2026년에도 연료비 약세와 지역별 도매전력요금제(LMP) 도입, 전기료 인상 등 긍정적 변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 한국전력이 끌어올린 영업이익을 4분기까지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전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7조5720억 원, 영업이익 5조6520억 원을 낸 것으로 잠정집계했다. 1년 전과 비교해 매출은 5.6%, 영업이익은 66.4% 늘어난 것이다.
호실적의 주요 배경으로 꼽히는 연료비 하락 효과는 4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됐다. 3분기 연료비는 1년 전보다 18.2% 줄었다.
석탄·액화천연가스(LNG)보다 발전단가가 낮은 원전 이용률이 높았던 영향이 있었다. 여기에 연료 가격 약세도 이어졌다.
한전은 연료비 하락에 4분기 영업이익 3조319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1년 전보다 37.2% 늘어나는 것이다.
전 연구원은 “2021년~2023년 급등한 연료비 여파가 아직까지는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전기료를 인상해 재무구조를 정상화해야 하지만 올해는 연료비 하락 효과만으로 충분한 영업이익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전 실적에 영향을 끼치는 전기료 인상은 2026년 하반기에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전 연구원은 “정부가 에너지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송전망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며 “국내 송전망 독점 사업자인 한전이 추가 투자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기료 인상이 필수적일 것이다”고 내다봤다.
한전은 올해 연결기준 매출 98조9620억 원, 영업이익 14조860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5.9%, 영업이익은 77.6% 늘어나는 것이다.
전 연구원은 14일 한전 목표주가를 기존 4만7천 원에서 6만4천 원으로 올려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전날 한전 주식은 4만7650 원에 거래를 마쳤다. 조수연 기자